Skip to main content

The emergent role of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aterials sciences

· 5 min read
Tommy Liu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연구원
Amanda S. Barnard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The emergent role of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aterials sciences
  • 저자: Tommy Liu (School of Computing,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manda S. Barnard (School of Computing,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 학회/저널: Cell Reports Physical Science
  • 발행일: 2023-10-18
  • DOI: 10.1016/j.xcrp.2023.101630
  • 주요 연구 내용: 본 논문은 설명가능 인공지능(XAI)의 현황을 검토하고, 재료 정보학 워크플로우를 보강할 수 있는 도구로서 XAI 방법론(내재적, 사후, 데이터-프로세스)을 분류하여 제시함. 특히 재료 과학 분야에서 활용되는 복잡한 블랙박스 모델을 해석하기 위해 모델에 구애받지 않는 사후 분석 기법인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의 중요성을 강조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XAI는 재료 과학에서 머신러닝 예측을 실제 전략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 신뢰성 구축, 인과관계 이해에 필수적임. 특히 섀플리 값(Shapley values)과 같은 XAI 기법의 도입은 모델을 개선하고, 실험 설계를 안내하며, 머신러닝 예측에 기반한 투자 결정을 정당화함으로써 재료 발견을 가속화할 수 있음.
  • 기여점: 재료 과학자들을 위한 XAI 활용 실용 가이드를 제공하며 물리 과학 분야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방법들을 조명함. 복잡한 머신러닝 예측과 과학적 이해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재료 정보학에서 모델 검증과 과학적 방법의 가속화에 있어 XAI의 역할을 제시함.

섬유의 변퇴색 기준 판정 내광성 등급 기반 이상치 처리 기법

· 4 min read
이대규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석사과정생
서강복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
김덕엽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과정생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전임교수

논문 정보

  • 제목: 섬유의 변퇴색 기준 판정 내광성 등급 기반 이상치 처리 기법 (Outlier Processing Techniques Based on Colorfastness Rating Determination Based on Change in Color of Textile)
  • 저자: 이대규, 서강복, 김덕엽, 이우진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
  • 학회/저널: 2023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 발행일: 2023-06-21
  • DOI: 제공되지 않음
  • 주요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섬유 염색 공정 데이터에서 내광성 등급 예측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상치 처리 기법을 제안함. 제안된 기법은 기기으로 측정한 변퇴색(ΔEF\Delta E_F) 기반의 내광성 등급과 현장에서 수집된 내광성 등급을 비교해 두 등급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이상치로 간주하고 제거하는 방식임.
  • 주요 결과 및 결론: 수집된 내광성 등급과 변퇴색 기준 등급 간의 차이가 1.5를 초과하는 데이터를 이상치로 제거했을 때, 예측 모델의 정확도가 0.9495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이는 원본 데이터(0.86301)나 일반적인 이상치 처리 기법(Z-score: 0.91359, IQR: 0.87477)을 적용했을 때보다 우수한 성능임.
  • 기여점: 노동집약적인 섬유 산업 분야의 데이터가 갖는 비정규 분포 특성을 고려한 도메인 특화 이상치 처리 기법을 제안함. 이를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고 머신러닝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켜, 제품 생산 효율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론을 제시함.

Generating Real-Time, Selective, and Multimodal Haptic Effects from Sound for Gaming Experience Enhancement

· 7 min read
Gyeore Yun
POSTECH 연구원
Seungmoon Choi
POSTECH 교수

논문 정보

  • 제목 (Title): Generating Real-Time, Selective, and Multimodal Haptic Effects from Sound for Gaming Experience Enhancement
  • 저자 (Authors) 및 소속 (Affiliations):
    • 윤겨레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문민재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이준근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동근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Hong Z. Tan (Google LLC)
    • 최승문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학회 또는 저널명 (Conference or Journal Name): Proceedings of the 2023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CHI '23)
  • 제출일 또는 발행일 (Submission or Publication Date): 2023년 4월 23-28일
  • 키워드 (Keywords): 사운드-햅틱 변환, 오디오-햅틱 변환, 다중 모드 햅틱 효과, 자동 생성, 게임
  •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사운드 신호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진동, 충격, 또는 진동과 충격이 결합된 햅틱 효과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전문가가 레이블링한 데이터셋으로 구축된 머신러닝 분류기(랜덤 포레스트)를 사용하여 사운드에 가장 적합한 유형의 햅틱 효과를 매칭한다는 점에서 '선택적'이다. 이 알고리즘은 비디오 게임 플레이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맞춤화되었으며, RPG와 FPS 장르에 대한 두 가지 예시를 제시한다. 동일한 교차 모달 변환을 위한 다른 최신 기술(SOTA) 방법들과 비교하는 사용자 연구를 통해 알고리즘의 효과를 입증했으며, 두 게임 장르 모두에서 SOTA 알고리즘보다 더 나은 다중감각 사용자 경험을 이끌어냈다.
  • 주요 연구 내용 (Main Research Content/Methodology):
    • 실시간 사운드-햅틱 변환 시스템 제안: 게임의 오디오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캡처하고 처리하여 진동, 충격, 또는 이 둘을 결합한 다중 모드 햅틱 효과를 생성한다.
    • 머신러닝 기반 선택적 분류: 전문가가 RPG 및 FPS 게임 사운드에 대해 레이블링한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된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분류기를 사용하여 사운드에 가장 적합한 햅틱 유형(없음, 진동, 충격, 복합)을 실시간으로 선택한다.
    • 다중 모드 햅틱 렌더링: 분류된 햅틱 유형에 따라 진동 액추에이터(Vibrotactile Actuator)와 충격 액추에이터(Impact Actuator)를 제어하여 풍부하고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 실시간 성능 최적화: 사용자가 사운드와 햅틱을 동시에 인지할 수 있도록, 데이터 캡처 윈도우 크기와 분류 모델 파라미터를 최적화하여 전체 계산 지연 시간을 최소화했다(사운드-충격 평균 63.3ms).
    • 사용자 경험 평가: 기존의 대표적인 사운드-햅틱 변환 알고리즘(단순 저역 통과 필터, 심리음향학 기반 SOTA)과 제안된 알고리즘(진동만, 다중 모드)을 RPG 및 FPS 게임 영상에 적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비교 평가했다.
  • 주요 결과 및 결론 (Key Findings and Conclusion):
    • 제안 시스템의 우수성 입증: 제안된 ML 기반 시스템은 적절성, 방해 정도, 즐거움, 동기화, 피로도, 선호도 등 대부분의 사용자 경험 지표에서 기존 SOTA 알고리즘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 선택적 변환의 효과: 배경음악과 같은 불필요한 사운드까지 햅틱으로 변환하는 단순 필터링 방식에 비해, 제안된 시스템처럼 중요한 이벤트 사운드만 '선택적으로' 변환하는 것이 사용자의 방해와 피로감을 크게 줄이고 전반적인 경험을 향상시켰다.
    • ML 분류기의 견고성: 제안된 랜덤 포레스트 분류기(98.7% 정확도)는 단순 임계값에 의존하는 심리음향학적 SOTA 방법에 비해 다양한 사운드 환경(e.g., 배경음악 볼륨이 큰 경우)에서도 더 일관되고 안정적으로 목표 사운드를 감지하여 햅틱 효과를 생성했다.
    • 다중 모드 햅틱의 잠재성: 진동만 사용한 경우와 진동+충격을 함께 사용한 경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선호도 차이는 없었다. 인터뷰 결과, 충격 효과가 현실감과 몰입감을 높인다는 긍정적 의견과, 과도하거나 피곤하다는 부정적 의견이 공존하여 개인 선호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기여점 (Contributions):
    • 최초의 다중 모드 선택적 사운드-햅틱 변환 시스템: 게임 사운드로부터 실시간으로 작동하며,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선택적'으로 햅틱 효과를 생성하는 최초의 '다중 모드(진동+충격)' 사운드-햅틱 변환 알고리즘과 시스템을 제안했다.
    • 사용자 경험 향상의 실험적 검증: 사용자 연구를 통해 제안된 접근 방식이 기존의 단순 변환 방식이나 심리음향학 기반의 SOTA 방법에 비해 게임 경험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검증했다.
    • 실시간 성능과 정확도의 균형 달성: 실시간 성능(낮은 지연 시간)과 높은 분류 정확도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 파라미터 최적화 과정을 제시했다.
  •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 10.1145/3544548.3580787
  • 기타 식별 가능한 정보:
    • 연구 분야: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햅틱스, 게임
    • 연구 대상: 비디오 게임 (RPG, FPS)
    • 데이터셋: 유튜브 게임플레이 영상에서 사운드 샘플을 수집하여 전문가 레이블링을 통해 자체 데이터셋 구축

데이터 불균형과 측정 오차를 고려한 생분해성 섬유 인장 강신도 예측 모델 개발

· 5 min read
Se-Chan Park
연구원
김덕엽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과정생
서강복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전임교수

논문 정보

  • 제목: The Development of Biodegradable Fiber Tensile Tenacity and Elongation Prediction Model Considering Data Imbalance and Measurement Error
  • 저자: 박세찬, 김덕엽, 서강복,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 학회/저널: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 발행일: 2022-12-01
  • DOI: 10.3745/KTSDE.2022.11.12.489
  • 주요 연구 내용: 섬유 방사 공정 데이터의 특성(적은 양, 불균형, 샘플 간 오차)을 고려하여, 동일 방사 조건 클러스터 내 평균과의 거리를 기준으로 이상치를 처리하는 기법을 제안함. 또한, 여러 공정 변수와 예측 물성 간 상관계수 및 데이터 불균형 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복합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제안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제안한 이상치 처리 및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적용했을 때, 기존 기법들(박스 플롯, CBLOF, ROS, SMOTE)보다 데이터 손실이 적고 불균형을 효과적으로 완화함. MLP 모델 기준, 인장 강도 예측에서 평균절대오차(MAE)는 약 27% 감소하고 조정된 결정계수(R2R^2)는 0.5 미만에서 약 0.8 수준으로 크게 개선됨.
  • 기여점: 데이터 수집이 어려운 섬유 산업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부족, 불균형, 측정 오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데이터 전처리 기법을 제안함. 이를 통해 AI 예측 모델의 성능과 신뢰도를 향상시켜 공정 비용 절감 및 품질 최적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실용적 방안을 제시.

Deep learning-based fabric defect detection: A review

· 5 min read
Yavuz Kahraman
Adiyaman University 연구원
Alptekin Durmuşoğlu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Deep learning-based fabric defect detection: A review
  • 저자: Yavuz Kahraman (Adiyaman University), Alptekin Durmuşoğlu (Gaziantep University)
  • 학회/저널: Textile Research Journal
  • 발행일: 2022-10-17
  • DOI: 10.1177/00405175221130773
  • 주요 연구 내용: 2003년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딥러닝 기반 직물 결함 검출 관련 논문 38개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분류함. 연구들은 주로 합성곱 신경망(CNN),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오토인코더(Autoencoder), 순환 신경망(LSTM)과 같은 주요 딥러닝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분석되었음.
  • 주요 결과 및 결론: 딥러닝, 특히 CNN 기반 방법론이 직물 결함 검출에서 95% 이상의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함. 가장 많이 활용된 공개 데이터셋은 TILDA였으나, 연구의 일반화와 재현성을 위해 표준화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함.
  • 기여점: 본 논문은 딥러닝 기반 직물 결함 검출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룬 최초의 최신 리뷰 연구임. 주요 딥러닝 아키텍처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고, 사용된 데이터셋과 성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해당 분야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참고 자료와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함.

Explainable machine learning in materials science

· 6 min read
Xiaoting Zhong
연구원
Brian Gallagher
연구원
Shusen Liu
연구원
Bhavya Kailkhura
연구원
Anna Hiszpanski
연구원
T. Yong-Jin Han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Explainable machine learning in materials science
  • 저자: Xiaoting Zhong, Brian Gallagher, Shusen Liu, Bhavya Kailkhura, Anna Hiszpanski, T. Yong-Jin Han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 학회/저널: npj Computational Materials
  • 발행일: 2022-09-22
  • DOI: 10.1038/s41524-022-00884-7
  • 주요 연구 내용: 재료과학 분야에서 높은 정확도를 가진 머신러닝 모델의 블랙박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설명 가능 인공지능(XAI)의 개념과 기술을 소개함. 모델 처리 과정(후처리)과 모델 설계(선행) 측면에서 DNN을 설명하는 다양한 방법을 분류하고, 실제 재료과학 응용 사례를 검토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재료과학 연구에서 XAI 기술, 특히 히트맵과 같은 시각화 기법이 모델 예측을 신뢰하고, 모델의 오류 원인을 진단하며, 새로운 과학적 가설을 생성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줌. 또한, XAI가 아직 초기 단계이며 재료과학 데이터의 명확한 정답(ground truth) 부족, 설명 평가의 어려움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음을 지적함.
  • 기여점: 재료과학 분야 연구자들에게 XAI에 대한 입문서 역할을 제공하며, 예측 정확도뿐만 아니라 설명 가능성을 원하는 이들에게 유용한 개념적 틀과 실제 적용 사례를 제시함. 논문은 XAI 기술의 유용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무분별한 해석을 피하고 적절한 평가의 필요성을 역설함.

Transfer Learning with Self-Supervised Vision Transformer for Large-Scale Plant Identification

· 4 min read
Mingle Xu
전북대학교 연구원
Sook Yoon
연구원
Yongchae Jeong
연구원
Jaesu Lee
연구원
Dong Sun Park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Transfer Learning with Self-Supervised Vision Transformer for Large-Scale Plant Identification
  • 저자: Mingle Xu (Jeonbuk National University), Sook Yoon (Mokpo National University), Yongchae Jeo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aesu Le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Dong Sun Park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학회/저널: CLEF 2022
  • 발행일: 2022-09-05
  • DOI: N/A
  • 주요 연구 내용: 대규모 소수샷(few-shot) 식물 식별 챌린지인 PlantCLEF2022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지도 학습 방식 CNN 대신 자기 지도 학습으로 사전 학습된 Vision Transformer(ViT) 모델, 구체적으로 Masked Autoencoder (MAE)를 사용함. 이 접근법은 ViT의 높은 모델 용량과 자기 지도 학습의 범용적인 특징 추출 능력을 활용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제안된 방법으로 PlantCLEF2022 챌린지에서 MA-MRR 0.62692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함. 추가 학습을 통해 0.64079까지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PlantCLEF2022 데이터셋으로 사전 학습된 모델이 다른 식물 질병 인식 과제에서도 성능 향상에 기여함을 보임.
  • 기여점: 자기 지도 학습 ViT가 대규모, 소수샷 이미지 분류 문제에 효과적임을 입증함. 또한, PlantCLEF2022 데이터셋과 이를 통해 사전 학습된 모델이 식물 관련 하위 과제(downstream task)에 유용한 공개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함.

Quality Prediction and Abnormal Processing Parameter Identification in Polypropylene Fiber Melt Spinn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 5 min read
Amit Kumar Gope
연구원
Yu-Shu Liao
연구원
Chung-Feng Jeffrey Kuo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Quality Prediction and Abnormal Processing Parameter Identification in Polypropylene Fiber Melt Spinn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 저자: Amit Kumar Gope, Yu-Shu Liao, Chung-Feng Jeffrey Kuo (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학회/저널: Polymers
  • 발행일: 2022-07-04
  • DOI: 10.3390/polym14132739
  • 주요 연구 내용: 딥러닝 신경망을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PP) 용융 방사 공정의 다중 품질 특성을 예측하고 최적의 공정 파라미터를 탐색함. 이후, 품질 이상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랜덤 포레스트를 포함한 여러 머신러닝 및 딥러닝 방법을 비교하여 이상 원인이 되는 공정 파라미터를 식별하는 2단계 진단 시스템을 개발.
  • 주요 결과 및 결론: 랜덤 포레스트 모델이 이상 공정 파라미터 식별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임. 단일/이중 요인 식별 정확도 100%, 단일 요인 분류 정확도 98.3%, 이중 요인 분류 정확도 96.0%를 달성하여 제안된 진단 방법의 효과를 입증.
  • 기여점: PP 용융 방사 공정에서 제품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는 공정 파라미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하는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을 제안함. 이를 통해 기존의 전문가 의존적 분석 시간을 단축하고 공정 제어 안정성을 높여 생산 비용 절감에 기여.

딥러닝 기반 폴리에스터 섬유의 염색색상 결과예측 모형 개발

· 4 min read
이우창
연구원
손현식
연구원
이충권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딥러닝 기반 폴리에스터 섬유의 염색색상 결과예측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model for predicting dyeing color results of polyester fibers based on deep learning)
  • 저자: 이우창(다이텍연구원), 손현식(다이텍연구원), 이충권(계명대학교 경영정보학전공 교수)
  • 학회/저널: 스마트미디어저널 (Smart Media Journal)
  • 발행일: 2022-04-18
  • DOI: 10.30693/SMJ.2022.11.3.74
  • 주요 연구 내용: 폴리에스터 섬유 염색 공정 최적화를 위해 376건의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다층퍼셉트론(MLP), CNN, LSTM 딥러닝 모델에 학습시켜 최종 염색 색상(L*, a*, b*)을 예측함. 각 모델의 성능은 K-겹 교차 검증을 통해 평가 및 비교됨.
  • 주요 결과 및 결론: 세 가지 모델 중 염색 공정의 순차적 특성을 반영한 LSTM 모델이 가장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임. LSTM 모델은 CMC(2:1) 색차 평균이 0.6479로 가장 낮았고, L*, a*, b* 각 값에 대한 R-Square 값도 가장 높아 분산 설명력이 뛰어났음.
  • 기여점: 본 연구는 딥러닝 기술을 염색 공정에 적용하여 객관적인 색상 예측 모델을 개발함. 특히 LSTM 모델의 우수성을 입증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재염 발생을 줄여 염색 공정의 효율성과 품질을 최적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함.

Analysing an imbalanced stroke prediction dataset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5 min read
Viswapriya Subramaniyam Elangovan
연구원
Rajeswari Devarajan
연구원
Osamah I. Khalaf
연구원
Mhd Saeed Sharif
연구원
Wael Elmedany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Analysing an Imbalanced Stroke Prediction Dataset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저자: Viswapriya Subramaniyam Elangovan (SRM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Rajeswari Devarajan (SRM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Osamah I. Khalaf (Al-Nahrain University), Mhd Saeed Sharif (UEL University), Wael Elmedany (University of Bahrain)
  • 학회/저널: KIJOMS
  • 발행일: 2022-01-01
  • DOI: DOI 링크 없음
  • 주요 연구 내용: Kaggle의 공개 뇌졸중 예측 데이터셋은 소수 클래스(뇌졸중 환자)가 매우 적은 불균형 문제를 가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MOTE와 Adasyn 같은 오버샘플링 기법을 적용하여 데이터셋의 균형을 맞추고, 제안하는 하이브리드 신경망-랜덤 포레스트(NN-RF) 모델의 성능을 평가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제안된 NN-RF 모델은 Adasyn 오버샘플링 기법을 적용했을 때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음. F1-score 75%, 정확도 84%, AUC 86%를 달성하여 다른 벤치마킹 알고리즘(DT, LR, NN, RF)보다 우수한 예측 성능을 입증함.
  • 기여점: 데이터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오버샘플링 기법의 효과를 검증함. 또한, 기존 단일 모델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신경망과 랜덤 포레스트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모델을 제안하고 그 우수성을 실험적으로 증명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