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3 posts tagged with "Materials science"

재료과학

View All Tags

Polymer design via SHAP and Bayesian machine learning optimizes pDNA and CRISPR ribonucleoprotein delivery

· 4 min read
Rishad J. Dalal
University of Minnesota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Polymer design via SHAP and Bayesian machine learning optimizes pDNA and CRISPR ribonucleoprotein delivery
  • 저자: Rishad J. Dalal (University of Minnesota), Felipe Oviedo (Nanite Inc., University of Minnesota), Michael C. Leyden (University of Minnesota), Theresa M. Reineke (University of Minnesota)
  • 학회/저널: Chemical Science
  • 발행일: 2024-04-22
  • DOI: 10.1039/d3sc06920f
  • 주요 연구 내용: 길이, 이원 조성, pKavpK_{av}, 소수성(clog P)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킨 폴리머 라이브러리를 합성함.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분석과 베이지안 최적화(BO) 머신러닝을 결합하여 plasmid DNA(pDNA) 및 CRISPR-Cas9 리보핵단백질(RNP) 전달을 위한 정량적 구조-특성 관계를 해석하고 최적의 제형을 예측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pDNA 전달에는 낮은 폴리머 pKapK_{a}와 높은 benzimidazole ethanethiol(BET) 비율이 유리한 반면, RNP 전달에는 더 긴 폴리머 길이와 captamine(Cap) 양이온이 더 효과적임을 발견함. 머신러닝으로 최적화된 상위 3개 폴리머는 생체 내(in vivo)에서 대조군보다 1.7배 향상된 유전자 발현을 보이며 20일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됨.
  • 기여점: 핵산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전달체 설계 파라미터가 다르다는 것을 설명 가능한 머신러닝(SHAP)을 통해 처음으로 규명함. 합성, 특성 분석, 머신러닝을 결합한 파이프라인을 제시하여 차세대 핵산 약물 전달체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를 제공함.

Scaling deep learning for materials discovery

· 6 min read
Amil Merchant
Google DeepMind 연구원
Simon Batzner
연구원
Samuel S. Schoenholz
연구원
Muratahan Aykol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Scaling deep learning for materials discovery
  • 저자: Amil Merchant (Google DeepMind), Simon Batzner (Google DeepMind), Samuel S. Schoenholz (Google DeepMind), Muratahan Aykol (Google Research), Gowoon Cheon (Google Research), Ekin Dogus Cubuk (Google DeepMind)
  • 학회/저널: Nature
  • 발행일: 2023-11-29
  • DOI: 10.1038/s41586-023-06735-9
  • 주요 연구 내용: 본 연구는 그래프 신경망(GNN)을 대규모로 확장하고 액티브 러닝을 적용하여 무기 결정의 안정성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GNOME(Graph Networks for Materials Exploration)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이 프레임워크는 대칭성을 고려한 부분 치환(SAPS)과 같은 새로운 후보군 생성 방법과 밀도 범함수 이론(DFT) 계산을 결합한 반복적인 학습 사이클을 통해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방대한 화학 공간을 효율적으로 탐색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GNOME을 통해 기존 연구 대비 220만 개의 새로운 안정적인 결정 구조를 발견했으며, 이 중 381,000개는 새로운 볼록 껍질(convex hull)을 형성하여 인류에게 알려진 안정적인 재료의 수를 10배 가까이 확장함. 최종 모델은 에너지 예측 오차를 원자당 11 meV까지 낮췄으며, 안정적인 구조 예측의 정확도(hit rate)를 80% 이상으로 향상시킴. 또한, 이 과정에서 생성된 방대한 데이터셋은 전이 학습 없이도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범용 머신러닝 원자간 전위(MLIP) 모델 개발을 가능하게 함.
  • 기여점: 알려진 안정적인 무기 재료의 수를 10배 가까이 확장하여 재료 과학 분야에 방대한 데이터를 제공함. 딥러닝 모델의 규모를 확장함으로써 학습 데이터 분포를 벗어나는 문제(out-of-distribution)에 대한 일반화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는 과학적 발견에서 머신러닝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할 가능성을 제시함. 또한, 생성된 데이터셋을 통해 특정 재료에 대한 추가 학습 없이도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에 바로 사용될 수 있는 고성능 사전 학습 원자간 전위 모델을 개발함.

The emergent role of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aterials sciences

· 5 min read
Tommy Liu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연구원
Amanda S. Barnard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The emergent role of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aterials sciences
  • 저자: Tommy Liu (School of Computing,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manda S. Barnard (School of Computing,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 학회/저널: Cell Reports Physical Science
  • 발행일: 2023-10-18
  • DOI: 10.1016/j.xcrp.2023.101630
  • 주요 연구 내용: 본 논문은 설명가능 인공지능(XAI)의 현황을 검토하고, 재료 정보학 워크플로우를 보강할 수 있는 도구로서 XAI 방법론(내재적, 사후, 데이터-프로세스)을 분류하여 제시함. 특히 재료 과학 분야에서 활용되는 복잡한 블랙박스 모델을 해석하기 위해 모델에 구애받지 않는 사후 분석 기법인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의 중요성을 강조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XAI는 재료 과학에서 머신러닝 예측을 실제 전략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 신뢰성 구축, 인과관계 이해에 필수적임. 특히 섀플리 값(Shapley values)과 같은 XAI 기법의 도입은 모델을 개선하고, 실험 설계를 안내하며, 머신러닝 예측에 기반한 투자 결정을 정당화함으로써 재료 발견을 가속화할 수 있음.
  • 기여점: 재료 과학자들을 위한 XAI 활용 실용 가이드를 제공하며 물리 과학 분야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방법들을 조명함. 복잡한 머신러닝 예측과 과학적 이해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재료 정보학에서 모델 검증과 과학적 방법의 가속화에 있어 XAI의 역할을 제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