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7 posts tagged with "For_ksc"

KSC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 참고할 논문들

View All Tags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 for Material Design and Engineering Applications: A Quantitative Computational Framework

· 5 min read
Bokai Liu
연구원
Pengju Liu
연구원
Weizhuo Lu
연구원
Thomas Olofsson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 for Material Design and Engineering Applications: A Quantitative Computational Framework
  • 저자: Bokai Liu, Pengju Liu, Weizhuo Lu, Thomas Olofsson (Department of Applied Physics and Electronics, Umeå University, Umeå, Sweden)
  • 학회/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al System Dynamics
  • 발행일: 2025-03-27 (Accepted)
  • DOI: https://doi.org/10.1002/msd2.70017
  • 주요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재료 설계 및 엔지니어링 응용을 위해 기계학습(ML)과 설명가능 인공지능(XAI)을 통합한 새로운 정량적 계산 프레임워크를 제안함. 이 프레임워크는 데이터 처리, 특징 선택, 모델 훈련, 성능 평가, 설명가능성 분석 및 실제 클라우드 배포를 포함하는 체계적인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됨.
  • 주요 결과 및 결론: 고성능 콘크리트(HPC)의 압축 강도 예측 사례 연구를 통해 프레임워크를 검증했으며, XGBoost 모델이 R2=0.918R^{2}=0.918로 가장 높은 예측 성능을 달성함. SHAP과 LIME은 특징 중요도와 재료 간 상호작용에 대한 상세한 통찰력을 제공했으며, 훈련된 모델은 클라우드 기반 API로 배포되어 확장성과 접근성을 확보함.
  • 기여점: 기존 ML 접근법의 '블랙박스'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급 설명가능성 기술을 통합하고, 비선형적 특징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다루며, 확장 가능한 배포 전략을 제공함.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 예측과 근본적인 재료 과학 원리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해석 가능하고 배포 가능한 AI 기반 재료 정보학 솔루션을 제시함.

Explainable AI for Material Property Prediction Based on Energy Cloud: A Shapley-Driven Approach

· 5 min read
Faiza Qayyum
연구원
Murad Ali Khan
연구원
Do-Hyeun Kim
연구원
Hyunseok Ko
연구원
Ga-Ae Ryu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Explainable AI for Material Property Prediction Based on Energy Cloud: A Shapley-Driven Approach
  • 저자: Faiza Qayyum (Jeju National University), Murad Ali Khan (Jeju National University), Do-Hyeun Kim (Jeju National University), Hyunseok Ko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Ga-Ae Ryu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 학회/저널: Materials
  • 발행일: 2023-11-24
  • DOI: 10.3390/ma16237322
  • 주요 연구 내용: TabNet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PZT(납 지르콘산 티탄산염) 세라믹의 조성 및 공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전율 특성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함. 모델의 예측 결과를 해석하고 입력 변수와 예측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설명가능 AI(XAI) 기법인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분석을 수행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제안된 TabNet 모델은 기존 머신러닝 모델(XGBoost, Bi-Layered ANN)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평균 제곱 오차(MSE) 0.047, 평균 절대 오차(MAE) 0.042를 달성함. SHAP 분석을 통해 압전상수(d33), 유전 손실(tangent loss), 화학식이 유전율 예측에 중요한 기여를 하는 반면, 공정 시간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음을 확인함.
  • 기여점: PZT 세라믹 특성 예측을 위해 특화된 새로운 TabNet 기반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개발함. SHAP 분석을 통해 모델의 예측에 대한 해석 가능성을 높이고, 다양한 입력 파라미터가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압전 재료 특성 예측 분야의 신뢰성을 향상시킴.

The emergent role of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aterials sciences

· 5 min read
Tommy Liu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연구원
Amanda S. Barnard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The emergent role of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aterials sciences
  • 저자: Tommy Liu (School of Computing,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manda S. Barnard (School of Computing,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 학회/저널: Cell Reports Physical Science
  • 발행일: 2023-10-18
  • DOI: 10.1016/j.xcrp.2023.101630
  • 주요 연구 내용: 본 논문은 설명가능 인공지능(XAI)의 현황을 검토하고, 재료 정보학 워크플로우를 보강할 수 있는 도구로서 XAI 방법론(내재적, 사후, 데이터-프로세스)을 분류하여 제시함. 특히 재료 과학 분야에서 활용되는 복잡한 블랙박스 모델을 해석하기 위해 모델에 구애받지 않는 사후 분석 기법인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의 중요성을 강조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XAI는 재료 과학에서 머신러닝 예측을 실제 전략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 신뢰성 구축, 인과관계 이해에 필수적임. 특히 섀플리 값(Shapley values)과 같은 XAI 기법의 도입은 모델을 개선하고, 실험 설계를 안내하며, 머신러닝 예측에 기반한 투자 결정을 정당화함으로써 재료 발견을 가속화할 수 있음.
  • 기여점: 재료 과학자들을 위한 XAI 활용 실용 가이드를 제공하며 물리 과학 분야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방법들을 조명함. 복잡한 머신러닝 예측과 과학적 이해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재료 정보학에서 모델 검증과 과학적 방법의 가속화에 있어 XAI의 역할을 제시함.

섬유의 변퇴색 기준 판정 내광성 등급 기반 이상치 처리 기법

· 4 min read
이대규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석사과정생
서강복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
김덕엽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과정생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전임교수

논문 정보

  • 제목: 섬유의 변퇴색 기준 판정 내광성 등급 기반 이상치 처리 기법 (Outlier Processing Techniques Based on Colorfastness Rating Determination Based on Change in Color of Textile)
  • 저자: 이대규, 서강복, 김덕엽, 이우진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
  • 학회/저널: 2023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 발행일: 2023-06-21
  • DOI: 제공되지 않음
  • 주요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섬유 염색 공정 데이터에서 내광성 등급 예측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상치 처리 기법을 제안함. 제안된 기법은 기기으로 측정한 변퇴색(ΔEF\Delta E_F) 기반의 내광성 등급과 현장에서 수집된 내광성 등급을 비교해 두 등급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이상치로 간주하고 제거하는 방식임.
  • 주요 결과 및 결론: 수집된 내광성 등급과 변퇴색 기준 등급 간의 차이가 1.5를 초과하는 데이터를 이상치로 제거했을 때, 예측 모델의 정확도가 0.9495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이는 원본 데이터(0.86301)나 일반적인 이상치 처리 기법(Z-score: 0.91359, IQR: 0.87477)을 적용했을 때보다 우수한 성능임.
  • 기여점: 노동집약적인 섬유 산업 분야의 데이터가 갖는 비정규 분포 특성을 고려한 도메인 특화 이상치 처리 기법을 제안함. 이를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고 머신러닝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켜, 제품 생산 효율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론을 제시함.

데이터 불균형과 측정 오차를 고려한 생분해성 섬유 인장 강신도 예측 모델 개발

· 5 min read
Se-Chan Park
연구원
김덕엽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과정생
서강복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전임교수

논문 정보

  • 제목: The Development of Biodegradable Fiber Tensile Tenacity and Elongation Prediction Model Considering Data Imbalance and Measurement Error
  • 저자: 박세찬, 김덕엽, 서강복,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 학회/저널: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 발행일: 2022-12-01
  • DOI: 10.3745/KTSDE.2022.11.12.489
  • 주요 연구 내용: 섬유 방사 공정 데이터의 특성(적은 양, 불균형, 샘플 간 오차)을 고려하여, 동일 방사 조건 클러스터 내 평균과의 거리를 기준으로 이상치를 처리하는 기법을 제안함. 또한, 여러 공정 변수와 예측 물성 간 상관계수 및 데이터 불균형 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복합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제안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제안한 이상치 처리 및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적용했을 때, 기존 기법들(박스 플롯, CBLOF, ROS, SMOTE)보다 데이터 손실이 적고 불균형을 효과적으로 완화함. MLP 모델 기준, 인장 강도 예측에서 평균절대오차(MAE)는 약 27% 감소하고 조정된 결정계수(R2R^2)는 0.5 미만에서 약 0.8 수준으로 크게 개선됨.
  • 기여점: 데이터 수집이 어려운 섬유 산업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부족, 불균형, 측정 오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데이터 전처리 기법을 제안함. 이를 통해 AI 예측 모델의 성능과 신뢰도를 향상시켜 공정 비용 절감 및 품질 최적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실용적 방안을 제시.

Explainable machine learning in materials science

· 6 min read
Xiaoting Zhong
연구원
Brian Gallagher
연구원
Shusen Liu
연구원
Bhavya Kailkhura
연구원
Anna Hiszpanski
연구원
T. Yong-Jin Han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Explainable machine learning in materials science
  • 저자: Xiaoting Zhong, Brian Gallagher, Shusen Liu, Bhavya Kailkhura, Anna Hiszpanski, T. Yong-Jin Han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 학회/저널: npj Computational Materials
  • 발행일: 2022-09-22
  • DOI: 10.1038/s41524-022-00884-7
  • 주요 연구 내용: 재료과학 분야에서 높은 정확도를 가진 머신러닝 모델의 블랙박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설명 가능 인공지능(XAI)의 개념과 기술을 소개함. 모델 처리 과정(후처리)과 모델 설계(선행) 측면에서 DNN을 설명하는 다양한 방법을 분류하고, 실제 재료과학 응용 사례를 검토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재료과학 연구에서 XAI 기술, 특히 히트맵과 같은 시각화 기법이 모델 예측을 신뢰하고, 모델의 오류 원인을 진단하며, 새로운 과학적 가설을 생성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줌. 또한, XAI가 아직 초기 단계이며 재료과학 데이터의 명확한 정답(ground truth) 부족, 설명 평가의 어려움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음을 지적함.
  • 기여점: 재료과학 분야 연구자들에게 XAI에 대한 입문서 역할을 제공하며, 예측 정확도뿐만 아니라 설명 가능성을 원하는 이들에게 유용한 개념적 틀과 실제 적용 사례를 제시함. 논문은 XAI 기술의 유용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무분별한 해석을 피하고 적절한 평가의 필요성을 역설함.

생분해성 섬유 방사 공정 데이터 특성을 고려한 물성 예측 모델 개발

· 4 min read
박세찬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
김덕엽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과정생
서강복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전임교수

논문 정보

  • 제목: 생분해성 섬유 방사 공정 데이터 특성을 고려한 물성 예측 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Property Prediction Model in Consideration of Biodegradable Fiber Spinning Process Data Characteristics)
  • 저자: 박세찬, 김덕엽, 서강복,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 학회/저널: ASK 2022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발행일: 2022-01-01
  • DOI: 제공되지 않음
  • 주요 연구 내용: 섬유 방사 공정 데이터는 양이 적고 분포가 불균형하며, 동일 조건 샘플 간에도 오차가 존재하는 특성이 있음. 본 논문은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물성 단위와 허용오차를 고려한 이상치 처리 기법과 데이터 불균형 정도 및 물성과의 상관성을 고려한 오버샘플링 기법을 제안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제안된 데이터 전처리 기법들을 MLP 모델에 적용한 결과, 조정된 결정계수는 0.479에서 0.789로 크게 향상되었고, 평균절대오차는 0.165에서 0.120으로 약 27% 감소함. 이를 통해 모델의 데이터 적합도와 예측 정확성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함.
  • 기여점: 데이터 확보가 어려운 섬유 방사 공정의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메인 지식(공정관리한계 허용오차)을 활용한 데이터 처리 기법을 제안함. 데이터 불균형과 상관성을 동시에 고려한 오버샘플링을 통해 물성 예측 모델의 성능을 실질적으로 개선하여 AI 기술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