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One post tagged with "Gene expression programming"

유전자 발현 프로그래밍

View All Tags

Machine learning based prediction models for spilt tensile strength of fiber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 6 min read
Wesam Salah Alaloul
Universiti Teknologi PETRONAS 연구원
IBRAHIM YOUSSEF ALYOUSSEF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Machine learning based prediction models for spilt tensile strength of fiber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 저자: Mohammed Alarfaj, Hisham Jahangir Qureshi (King Faisal University), Muhammad Zubair Shahab (COMSATS University Islamabad), Muhammad Faisal Javedd (Ghulam Ishaq Khan Institute), Md Arifuzzaman, Yaser Gamil (Monash University Malaysia)

  • 학회/저널: Case Studies in Construction Materials

  • 발행일: 2024-01-05

  • DOI: 10.1016/j.cscm.2024.e02945

  • 주요 연구 내용: 섬유보강 재생골재 콘크리트(FRAC)의 쪼갬 인장강도(STS)를 예측하기 위해 심층 신경망, 베이즈 최적화 가우시안 과정 회귀, 유전자 발현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총 5개의 모델(DNN1, DNN2, OGPR, GEP1, GEP2)을 개발. 10개의 입력 변수와 1개의 출력 변수로 구성된 257개의 데이터 포인트를 수집하여 모델 학습(80%) 및 테스트(20%)에 사용. 관련성 계수와 순열 특성 중요도를 이용한 민감도 분석 수행.

  • 주요 결과 및 결론: 3개의 은닉층을 가진 심층 신경망 모델인 DNN2가 테스트 단계에서 R2 값 0.94, MAE 0.187 MPa, RMSE 0.255 MPa를 기록하며 가장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임. 전반적인 성능은 DNN2, OGPR, DNN1, GEP2, GEP1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DNN과 OGPR 모델이 GEP 모델보다 더 강력하고 효율적인 예측 능력을 보여줌. 시멘트 함량, 천연 굵은 골재, 재생골재 밀도, 고성능 감수제는 쪼갬 인장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됨.

  • 기여점: 섬유보강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쪼갬 인장강도 예측을 위한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의 성능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예측 모델을 제시. 지속가능한 건설 재료로서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 민감도 분석을 통해 콘크리트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정량적으로 규명하여 향후 콘크리트 설계 및 제조에 실용적인 가이드라인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