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3 posts tagged with "Sustainability"

지속가능성

View All Tags

Machine Learning Based Virtual Screening for Biodegradable Polyesters

· 4 min read
Navya Nori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Machine Learning Based Virtual Screening for Biodegradable Polyesters
  • 저자: Navya Nori (Milton High School)
  • 학회/저널: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and Chemical Engineering
  • 발행일: 2024-08-22
  • DOI: 10.4236/msce.2024.128001
  • 주요 연구 내용: 생성 모델(JTVAE)로 만든 수많은 폴리에스터 후보 분자들을 대상으로, 600개의 분자 실험 데이터로 학습된 Gradient Boosted Machine 모델을 사용하여 생분해성 점수를 예측함. 점수가 높은 분자들은 SynNet 모델을 통해 화학적 합성 가능성을 검증하여 최종 후보군을 선별하는 하이브리드 가상 스크리닝 프레임워크를 제안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개발된 생분해성 예측 모델은 테스트 데이터셋에서 84%의 AUROC와 87%의 AUPRC를 달성하여 높은 정확도를 보였음. 분자 구조 분석 결과, 짧은 탄소 골격, 에스터 결합, 적절한 소수성이 생분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 후보 분자들은 실험실에서 합성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됨.
  • 기여점: 기존의 고비용, 저효율 스크리닝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저렴하고 확장 가능한 기계 학습 기반 접근법을 제시함. 생화학적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포착하여 새로운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후보 물질을 신속하게 발굴하고, 그 설계 원리에 대한 해석 가능성을 높임.

Application of Reinforcement Learning to Dyeing Processes for Residual Dye Reduction

· 5 min read
Whan Lee
성균관대학교 연구원
Seyed Mohammad Mehdi Sajadieh
연구원
Hye Kyung Choi
성균관대학교 연구원
Jisoo Park
연구원
Sang Do Noh
성균관대학교 교수

논문 정보

  • 제목: Application of Reinforcement Learning to Dyeing Processes for Residual Dye Reduction
  • 저자: Whan Lee, Seyed Mohammad Mehdi Sajadieh, Hye Kyung Choi, Jisoo Park, Sang Do Noh (Sungkyunkwan University)
  • 학회/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Green Technology
  • 발행일: 2024-04-16
  • DOI: 10.1007/s40684-024-00627-7
  • 주요 연구 내용: 실제 생산 시설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잔류 염료 배출을 예측하는 Gradient Boosting(GB) 모델과, 잔류 염료를 최소화하기 위한 공정 변수를 추천하는 Q-learning 기반의 강화학습 모델(DPRM)을 개발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개발된 예측 모델은 R2R^2 값 0.96의 높은 예측 성능을 보였으며, 공정 변수 추천을 통해 평균 66.58%의 잔류 염료 감소를 달성함. 실제 현장 실험을 통해 두 가지 처방에서 각각 42.92%와 76.33%의 잔류 염료 감소 효과를 검증함.
  • 기여점: 고가의 추가 장비나 화학물질 없이, 데이터 기반의 강화학습 접근법을 통해 염색 공정의 잔류 염료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고 줄이는 혁신적인 방법을 제안하여 친환경 공정 운영에 기여함.

Machine learning based prediction models for spilt tensile strength of fiber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 6 min read
Wesam Salah Alaloul
Universiti Teknologi PETRONAS 연구원
IBRAHIM YOUSSEF ALYOUSSEF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Machine learning based prediction models for spilt tensile strength of fiber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 저자: Mohammed Alarfaj, Hisham Jahangir Qureshi (King Faisal University), Muhammad Zubair Shahab (COMSATS University Islamabad), Muhammad Faisal Javedd (Ghulam Ishaq Khan Institute), Md Arifuzzaman, Yaser Gamil (Monash University Malaysia)

  • 학회/저널: Case Studies in Construction Materials

  • 발행일: 2024-01-05

  • DOI: 10.1016/j.cscm.2024.e02945

  • 주요 연구 내용: 섬유보강 재생골재 콘크리트(FRAC)의 쪼갬 인장강도(STS)를 예측하기 위해 심층 신경망, 베이즈 최적화 가우시안 과정 회귀, 유전자 발현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총 5개의 모델(DNN1, DNN2, OGPR, GEP1, GEP2)을 개발. 10개의 입력 변수와 1개의 출력 변수로 구성된 257개의 데이터 포인트를 수집하여 모델 학습(80%) 및 테스트(20%)에 사용. 관련성 계수와 순열 특성 중요도를 이용한 민감도 분석 수행.

  • 주요 결과 및 결론: 3개의 은닉층을 가진 심층 신경망 모델인 DNN2가 테스트 단계에서 R2 값 0.94, MAE 0.187 MPa, RMSE 0.255 MPa를 기록하며 가장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임. 전반적인 성능은 DNN2, OGPR, DNN1, GEP2, GEP1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DNN과 OGPR 모델이 GEP 모델보다 더 강력하고 효율적인 예측 능력을 보여줌. 시멘트 함량, 천연 굵은 골재, 재생골재 밀도, 고성능 감수제는 쪼갬 인장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됨.

  • 기여점: 섬유보강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쪼갬 인장강도 예측을 위한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의 성능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예측 모델을 제시. 지속가능한 건설 재료로서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 민감도 분석을 통해 콘크리트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정량적으로 규명하여 향후 콘크리트 설계 및 제조에 실용적인 가이드라인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