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AI-Assisted Discovery of Biodegradable Polymer Alternatives

· 7 min read
Peter Broklyn
연구원
Sabir K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AI-Assisted Discovery of Biodegradable Polymer Alternatives
  • 저자: Peter Broklyn, Sabir K
  • 학회/저널: Polymer Recycling
  • 발행일: 2024년 12월
  • DOI: -
  • 주요 연구 내용: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대체재를 발견하는 방법론과 기술을 탐색하는 연구임. 기존의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시행착오 기반의 접근법 대신, AI를 통해 물질의 특성을 예측하고, 고분자 제형을 최적화하며, 새로운 대체재를 식별하는 과정을 가속화하는 역할을 강조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머신러닝을 이용해 고분자의 물성을 예측하고, 생성 모델을 활용해 새로운 고분자 구조를 설계하며, 데이터 마이닝과 고속 스크리닝을 통해 유망한 후보를 식별할 수 있음을 보여줌. 이러한 AI 기술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및 고분자 혼합물의 개발 사례에서 그 유용성이 입증됨.
  • 기여점: 기존의 고분자 연구 개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AI의 잠재력을 제시함. 특히, 분자 구조와 물성 간의 관계를 밝혀내고, 새로운 물질을 제안하며, 실험 과정을 간소화하는 데 AI가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지속 가능한 소재 개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

Alternative Methods to SHAP Derived from Properties of Kernels: A Note on Theoretical Analysis

· 4 min read
Kazuhiro Hiraki
연구원
Shinichi Ishihara
연구원
Junnosuke Shino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Alternative Methods to SHAP Derived from Properties of Kernels: A Note on Theoretical Analysis
  • 저자: Kazuhiro Hiraki (International Monetary Fund), Shinichi Ishihara (Independent Researcher), Junnosuke Shino (Waseda University)
  • 학회/저널: 202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g Data (Big Data)
  • 발행일: 2024-12-15 (추정)
  • DOI: 10.1109/BigData62323.2024.10825215
  • 주요 연구 내용: 본 연구는 LIME(Local Interpretable Model-agnostic Explanations)의 커널을 이용하여 AFA(Additive Feature Attribution)의 일반적인 분석식을 유도함. 커널에 대칭성 조건을 부과하여, 특정 커널로부터 AFA 값을 분석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일반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기존의 AFA 방법론인 SHAP, ES, FESP를 커널 기반으로 재해석하고, LS prenucleolus 개념과 일치하거나 LIME의 커널 속성과 부합하는 새로운 AFA 방법론 4가지를 제안함. 이를 통해 SHAP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설명가능 AI 방법론의 이론적 기반을 확장함.
  • 기여점: LIME의 커널 관점에서 AFA 방법론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생성할 수 있는 일반화된 분석식을 최초로 유도함. 이를 통해 SHAP, ES 등 기존 방법론들을 커널 기반으로 재정의하고, LIME의 철학에 더 부합하는 새로운 AFA 대안들을 제시하여 설명가능 AI 분야의 이론적 토대를 넓힘.

데이터 변동률 기반 회귀 체인을 사용한 생분해성 섬유 원사 물성 예측 모델 개선

· 4 min read
김덕엽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과정생
류영교
경북대학교 학부연구생
강보권
경북대학교 학부연구생
김태환
경북대학교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전임교수

논문 정보

  • 제목: 데이터 변동률 기반 회귀 체인을 사용한 생분해성 섬유 원사 물성 예측 모델 개선 (Improving biodegradable fiber yarn property prediction model using data change rate-based regression chain)
  • 저자: 김덕엽, 류영교, 강보권, 김태환, 이우진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
  • 학회/저널: 2024 한국소프트웨어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발행일: 2024-12
  • DOI: 제공되지 않음
  • 주요 연구 내용: 본 연구는 데이터 수집 및 분포가 불균형한 생분해성 섬유 방사 데이터의 물성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함. 기존의 상관 분석은 신뢰성이 떨어지므로, 방사 공정 데이터에 따른 물성 데이터의 변동률을 계산하고 변동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물성 간 종속성을 평가함. 이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회귀 체인(Regression Chain)을 구성하여 예측 모델을 개선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데이터 변동률 기반 분석 결과, 인장강도는 인장신도와 강한 종속성을 보였으며(상관계수 0.73), 이는 기존 상관 분석 결과와 다름.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인장신도를 예측하여 인장강도 예측 모델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회귀 체인을 적용했을 때, 기존 모델 대비 MAE는 13%, MSE는 20%, R²는 5% 향상된 성능을 보임.
  • 기여점: 불균형한 산업 데이터에서 기존 상관 분석의 한계를 지적하고, 데이터 변동률이라는 새로운 기준으로 물성 간 종속성을 더 신뢰성 있게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함. 이는 국한적인 상황에서 회귀 체인 모델을 적용하여 예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함.

Material Property Prediction with Element Attribute Knowledge Graphs and Multimodal Representation Learning

· 5 min read
Chao Huang
연구원
Chunyan Chen
연구원
Ling Shil
연구원
Chen Chen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Material Property Prediction with Element Attribute Knowledge Graphs and Multimodal Representation Learning
  • 저자: Chao Huang (Institute of Computing Technology, Chinese Academy of Science; Ningbo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Chinese Academy of Sciences), Chunyan Chen (Institute of Computing Technology, Chinese Academy of Science), Ling Shil (Institute of Computing Technology, Chinese Academy of Science), Chen Chen (Ningbo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Chinese Academy of Sciences)
  • 학회/저널: arXiv
  • 발행일: 2024-11-13
  • DOI: 제공되지 않음
  • 주요 연구 내용: 기존 결정질 재료 물성 예측 모델들이 원소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간과하는 한계를 해결하고자 함. 원소의 속성(원자 반경, 전기음성도 등)을 체계화한 지식 그래프를 구축하고, 이를 임베딩하여 원소 속성 특징을 추출함. 이 특징을 결정 구조 그래프에서 추출한 특징과 결합하는 멀티모달 융합 프레임워크 'ESNet'을 제안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Materials Project 벤치마크 데이터셋을 이용한 실험에서, ESNet은 밴드갭 예측에서 기존 SOTA 모델들을 능가하는 성능(MAE 0.177 eV)을 달성했으며, 형성 에너지 예측에서는 대등한 결과를 보임. 이를 통해 구조적 정보에 화학적 사전 지식(원소 속성)을 통합하는 것이 물성 예측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입증함.
  • 기여점: 첫째, 재료 과학 분야에 활용 가능한 원소 속성 지식 그래프를 구축함. 둘째, 원소 속성 특징과 결정 구조 특징을 통합하는 새로운 멀티모달 융합 프레임워크 ESNet을 제안함. 셋째, 화학적 사전 지식의 통합이 재료 물성 예측, 특히 밴드갭 예측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함.

Machine Learning Based Virtual Screening for Biodegradable Polyesters

· 4 min read
Navya Nori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Machine Learning Based Virtual Screening for Biodegradable Polyesters
  • 저자: Navya Nori (Milton High School)
  • 학회/저널: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and Chemical Engineering
  • 발행일: 2024-08-22
  • DOI: 10.4236/msce.2024.128001
  • 주요 연구 내용: 생성 모델(JTVAE)로 만든 수많은 폴리에스터 후보 분자들을 대상으로, 600개의 분자 실험 데이터로 학습된 Gradient Boosted Machine 모델을 사용하여 생분해성 점수를 예측함. 점수가 높은 분자들은 SynNet 모델을 통해 화학적 합성 가능성을 검증하여 최종 후보군을 선별하는 하이브리드 가상 스크리닝 프레임워크를 제안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개발된 생분해성 예측 모델은 테스트 데이터셋에서 84%의 AUROC와 87%의 AUPRC를 달성하여 높은 정확도를 보였음. 분자 구조 분석 결과, 짧은 탄소 골격, 에스터 결합, 적절한 소수성이 생분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 후보 분자들은 실험실에서 합성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됨.
  • 기여점: 기존의 고비용, 저효율 스크리닝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저렴하고 확장 가능한 기계 학습 기반 접근법을 제시함. 생화학적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포착하여 새로운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후보 물질을 신속하게 발굴하고, 그 설계 원리에 대한 해석 가능성을 높임.

Optimization of Fiber Radiation Processes Using Multi-Objective Reinforcement Learning

· 5 min read
Hye Kyung Choi
성균관대학교 연구원
Whan Lee
성균관대학교 연구원
Seyed Mohammad Mehdi Sajadieh
연구원
Seung Bum Sim
연구원
Sang Do Noh
성균관대학교 교수

논문 정보

  • 제목: Optimization of Fiber Radiation Processes Using Multi-Objective Reinforcement Learning
  • 저자: Hye Kyung Choi (Sungkyunkwan University), Whan Lee (Sungkyunkwan University), Seyed Mohammad Mehdi Sajadieh (Sungkyunkwan University), Seung Bum Sim (Korea Textile Development Institute), Wu chang Jung (Korea Textile Development Institute), Jeong Ho Jeong (Korea Textile Development Institute), Sang Do Noh (Sungkyunkwan University)
  • 학회/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Green Technology
  • 발행일: 2024-07-26
  • DOI: 10.1007/s40684-024-00644-6
  • 주요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전통적인 섬유 방사 공정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다중 목표 강화 학습(MORL) 프레임워크를 제안함. 공정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 변수를 추출하고, LSTM 기반의 예측 모델로 섬유의 강도와 신도를 예측한 후, Q-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품질과 생산성을 동시에 최적화하는 공정 파라미터 레시피를 추천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제안된 LSTM 예측 모델은 섬유 강도 예측에서 85.24%, 신도 예측에서 87.02%의 높은 정확도(r2r^2-score)를 달성함. 다중 목표 최적화를 통해 기존 공정 대비 평균 7.25%의 생산성 향상을 이루었으며, 작업자의 노하우나 시행착오에 대한 의존도를 크게 낮춤.
  • 기여점: 전통적인 제조업에 데이터 기반 AI 기술을 적용하여 디지털 전환을 이룰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론을 제시함. 특히 품질과 생산성이라는 상충 관계에 있는 두 목표 사이의 최적 균형점을 찾는 강화 학습 모델을 통해, 복잡한 공정 의사결정을 자동화하고 효율화하는 방안을 구체화함.

Automated machine learning for fabric quality prediction: a comparative analysis

· 5 min read
Ahmet Metin
연구원
Turgay Tugay Bilgin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Automated machine learning for fabric quality prediction: a comparative analysis
  • 저자: Ahmet Metin (Bursa Technical University), Turgay Tugay Bilgin (Bursa Technical University)
  • 학회/저널: PeerJ Computer Science
  • 발행일: 2024-07-23
  • DOI: 10.7717/peerj-cs.2188
  • 주요 연구 내용: 7개의 오픈소스 AutoML(FLAML, AutoViML, EvalML, AutoGluon, H2OAutoML, PyCaret, TPOT) 기술을 비교하여 직물 품질 데이터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계산 효율성과 예측 정확성 간의 최적 균형점을 찾는 방법론을 제시. IoT 센서와 ERP 시스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품질 예측 모델을 자동화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EvalML이 평균 절대 오차(MAE)에서 2.8282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AutoGluon은 평균 절대 백분율 오차(MAPE), 평균 제곱근 오차(RMSE), 결정 계수(R2R^2)에서 각각 1.0444, 21.129, 0.964로 가장 나은 성능을 기록함. 그러나 AutoGluon은 추론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어, 정확성과 계산 효율성 간의 상충 관계를 확인함.
  • 기여점: 섬유 산업에서 AutoML 적용에 대한 실용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고 Industry 4.0 기술을 활용한 직물 품질 예측 향상 로드맵을 제시. 예측 정확성과 계산 효율성 간의 균형점 탐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모델 해석을 위한 특징 중요도(feature importance) 분석의 유용성을 입증함.

Beyond the Hype: A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Trends in Generative Al Research, Teaching Practices, and Tools

· 6 min read
James Prather
Abilene Christian University 교수
Juho Leinonen
연구원
Natalie Kiesler
연구원
Jamie Gorson Benario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Beyond the Hype: A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Trends in Generative Al Research, Teaching Practices, and Tools
  • 저자: James Prather (Abilene Christian University), Juho Leinonen (Aalto University), Natalie Kiesler (Nuremberg Tech), 외 다수
  • 학회/저널: 2024 Working Group Reports on Innovation and Technology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ITICSE-WGR 2024)
  • 발행일: 2024-07-08
  • DOI: 10.1145/3689187.3709614
  • 주요 연구 내용: 컴퓨팅 교육 분야에서 생성형 AI(GenAI)의 현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세 가지 접근법을 사용함. 첫째, 71편의 관련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SLR)을 수행함. 둘째, 교육자(N=76)와 산업계 개발자(N=39)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마지막으로 GenAI 도구 개발자, 연구자, 사용자 등 17명의 교육자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데이터를 삼각 측량 방식으로 분석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문헌 고찰 결과, 교육적 가드레일이 포함된 맞춤형 GenAI 도구를 사용할 때 긍정적인 결과가 더 많이 나타남. 설문 및 인터뷰 결과, 대다수 교육자(77%)는 GenAI로 인해 필요한 프로그래밍 역량이 변화했다고 인식하지만, 실제 교육과정을 수정한 비율은 36%에 그침. 역량의 중심이 코드 작성에서 코드 읽기, 테스트, 문제 분해 등 고차원적 기술로 이동하고 있으며, 평가 방식도 감독 있는 시험이나 구술시험으로 바뀌는 추세임.
  • 기여점: 본 연구는 문헌, 교육자, 산업계 개발자의 관점을 통합하여 컴퓨팅 교육에서 GenAI의 현주소를 포괄적으로 제시함. GenAI 통합의 실제 동향, 교육 방식의 변화, 역량 요구사항의 전환, 그리고 형평성 문제와 같은 주요 과제를 명확히 규명하고, 교육자들이 GenAI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구체적인 권장 사항을 제공함.

차분 테스트를 이용한 내광성 등급 예측 모델 성능 향상

· 4 min read
이대규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석사과정생
서강복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
김덕엽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과정생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전임교수

논문 정보

  • 제목: Performance Improvement of Lightfastness Grade Prediction Model using Differential Testing
  • 저자: 이대규, 서강복, 김덕엽,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 학회/저널: 2024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발행일: 2024-06-26
  • DOI: 제공되지 않음
  • 주요 연구 내용: 산업 현장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내광성 등급 예측 모델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분 테스트 기법을 응용한 데이터 정제 방법을 제안함. 다수의 머신러닝 모델(LSTM, RF-MLP, AutoML)을 학습시킨 후, 일정 기준 이상의 정확도를 보이는 모델들 중 과반수가 예측에 실패한 데이터를 이상치로 간주하여 제거하고, 정제된 데이터로 모델을 재학습시켜 성능을 향상시킴.
  • 주요 결과 및 결론: 제안된 기법을 적용한 결과, AutoML 모델은 1%, RF-MLP 앙상블 모델은 3%, LSTM 모델은 10%의 성능 향상을 보여 평균 4.6%의 정확도 상승을 확인함. 특히 LSTM 모델에서 예측 실패율이 높았던 데이터가 주로 제거되었는데, 이는 염색 공정의 순서상 발생한 데이터 오기입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이상치로 판단하여 제거한 것이 성능 향상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됨.
  • 기여점: 데이터의 양이 부족하고 신뢰성이 낮은 산업 데이터 환경에서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용적인 접근법을 제시함. 여러 모델의 예측 결과를 교차 검증하는 차분 테스트의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학습을 저해하는 이상치를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제거함으로써, 추가 데이터 확보 없이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제안함.

Mamba: Linear-Time Sequence Modeling with Selective State Spaces

· 6 min read
Albert Gu
Stanford University 연구원
Tri Dao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Mamba: Linear-Time Sequence Modeling with Selective State Spaces
  • 저자: Albert Gu (Carnegie Mellon University), Tri Dao (Princeton University)
  • 학회/저널: arXiv
  • 발행일: 2024-05-31
  • DOI: 10.48550/arXiv.2312.00752
  • 주요 연구 내용: 기존 상태 공간 모델(SSM)의 한계인 내용 기반 추론(content-based reasoning) 능력 부재를 해결하기 위해, 모델의 파라미터가 입력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선택 메커니즘'을 도입함. 이로 인해 비효율적으로 변하는 계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PU 메모리 계층 구조를 활용한 하드웨어 친화적인 병렬 스캔 알고리즘을 설계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Mamba는 시퀀스 길이에 대해 선형적으로 확장되며, Transformer 대비 5배 높은 추론 처리량을 보임. 언어, 음성, 유전체 등 다양한 모달리티에서 기존 SOTA 모델 및 Transformer의 성능을 능가했으며, 특히 언어 모델링에서는 동일 크기의 Transformer를 압도하고 2배 큰 모델과 대등한 성능을 달성함.
  • 기여점: 첫째, SSM에 입력 의존적인 선택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시퀀스 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을 부여함. 둘째, 이 선택적 SSM을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하드웨어 인식 병렬 알고리즘을 개발함. 셋째, 어텐션과 MLP 블록 없이 선택적 SSM을 통합한 단순하고 효율적인 Mamba 아키텍처를 제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