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6 posts tagg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관련 연구

View All Tags

A Survey on Web Testing: On the Rise of AI and Applications in Industry

· 5 min read
Iva Kertusha
University of Oslo 연구원
Gebremariam Assres
연구원
Onur Duman
연구원
Andrea Arcuri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A Survey on Web Testing: On the Rise of AI and Applications in Industry
  • 저자: Iva Kertusha (Kristiania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Gebremariam Assres (Kristiania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Onur Duman (Glasgow Caledonian University), Andrea Arcuri (Kristiania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 학회/저널: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제출)
  • 발행일: 2025-08-12 (arXiv v2 기준)
  • DOI: 제공되지 않음
  • 주요 연구 내용: 2014년부터 2025년까지 발표된 웹 테스팅 관련 연구 논문 259편을 체계적으로 분석함. 14개의 연구 질문을 통해 웹 테스팅 분야의 주요 동향, 인구 통계, 기여, 도구, 과제 및 혁신을 식별하며,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의 부상과 산업계와의 협력 수준에 중점을 둠.
  • 주요 결과 및 결론: 웹 테스팅 연구는 지난 10년간 매우 활발했으며, ICST가 주요 학회로 나타남. 연구 대다수는 블랙박스 테스팅 자동화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Selenium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임. 산업 시스템을 활용하는 긍정적인 추세가 관찰되지만, 많은 도구가 오픈소스로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인간 대상 연구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임.
  • 기여점: 기존 서베이 논문들보다 더 광범위한 259개의 논문을 분석하여 지난 10년간의 웹 테스팅 연구에 대한 심층적인 개요를 제공함. 특히 AI 기술의 역할과 산업 적용 현황을 상세히 분석하여 현재 연구의 강점과 약점, 그리고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한 통찰을 제시함.

The Future of Software Testing: A Review of Trend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 5 min read
Elavarasi Kesavan
Cognizant Full Stack QA Architect

논문 정보

  • 제목: The Future of Software Testing: A Review of Trend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 저자: Mrs. Elavarasi Kesavan (Full Stack QA Architect, Cognizant)
  • 학회/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s in Science Engineering and Management
  • 발행일: 2025-04-15
  • DOI: 10.69968/ijisem.2025v4i253-57
  • 주요 연구 내용: 본 논문은 AI, IoT, 클라우드, 애자일 등 최신 기술이 소프트웨어 테스팅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 문헌 연구를 통해 최신 테스팅 동향, 지속적인 과제, 그리고 새로운 기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의 테스트 엔지니어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조망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소프트웨어 테스팅은 AI와 IoT 같은 신기술과 깊이 연관되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테스터에게는 코딩 능력과 새로운 도구 및 프레임워크에 대한 적응력이 요구됨. 애자일, 자동화, TCoE(Testing Centers of Excellence)가 QA Practice를 재편하고 있으나, 성능 테스트, 숨겨진 종속성, 품질 책임과 같은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음.
  • 기여점: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현재 상황과 미래 방향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를 제공함. 최신 동향, 고질적인 문제, 새로운 기회를 종합하여 미래의 테스트 엔지니어를 위한 지속적인 학습과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함.

AI-Assisted Discovery of Biodegradable Polymer Alternatives

· 7 min read
Peter Broklyn
연구원
Sabir K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AI-Assisted Discovery of Biodegradable Polymer Alternatives
  • 저자: Peter Broklyn, Sabir K
  • 학회/저널: Polymer Recycling
  • 발행일: 2024년 12월
  • DOI: -
  • 주요 연구 내용: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대체재를 발견하는 방법론과 기술을 탐색하는 연구임. 기존의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시행착오 기반의 접근법 대신, AI를 통해 물질의 특성을 예측하고, 고분자 제형을 최적화하며, 새로운 대체재를 식별하는 과정을 가속화하는 역할을 강조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머신러닝을 이용해 고분자의 물성을 예측하고, 생성 모델을 활용해 새로운 고분자 구조를 설계하며, 데이터 마이닝과 고속 스크리닝을 통해 유망한 후보를 식별할 수 있음을 보여줌. 이러한 AI 기술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및 고분자 혼합물의 개발 사례에서 그 유용성이 입증됨.
  • 기여점: 기존의 고분자 연구 개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AI의 잠재력을 제시함. 특히, 분자 구조와 물성 간의 관계를 밝혀내고, 새로운 물질을 제안하며, 실험 과정을 간소화하는 데 AI가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지속 가능한 소재 개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

Beyond the Hype: A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Trends in Generative Al Research, Teaching Practices, and Tools

· 6 min read
James Prather
Abilene Christian University 교수
Juho Leinonen
연구원
Natalie Kiesler
연구원
Jamie Gorson Benario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Beyond the Hype: A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Trends in Generative Al Research, Teaching Practices, and Tools
  • 저자: James Prather (Abilene Christian University), Juho Leinonen (Aalto University), Natalie Kiesler (Nuremberg Tech), 외 다수
  • 학회/저널: 2024 Working Group Reports on Innovation and Technology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ITICSE-WGR 2024)
  • 발행일: 2024-07-08
  • DOI: 10.1145/3689187.3709614
  • 주요 연구 내용: 컴퓨팅 교육 분야에서 생성형 AI(GenAI)의 현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세 가지 접근법을 사용함. 첫째, 71편의 관련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SLR)을 수행함. 둘째, 교육자(N=76)와 산업계 개발자(N=39)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마지막으로 GenAI 도구 개발자, 연구자, 사용자 등 17명의 교육자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데이터를 삼각 측량 방식으로 분석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문헌 고찰 결과, 교육적 가드레일이 포함된 맞춤형 GenAI 도구를 사용할 때 긍정적인 결과가 더 많이 나타남. 설문 및 인터뷰 결과, 대다수 교육자(77%)는 GenAI로 인해 필요한 프로그래밍 역량이 변화했다고 인식하지만, 실제 교육과정을 수정한 비율은 36%에 그침. 역량의 중심이 코드 작성에서 코드 읽기, 테스트, 문제 분해 등 고차원적 기술로 이동하고 있으며, 평가 방식도 감독 있는 시험이나 구술시험으로 바뀌는 추세임.
  • 기여점: 본 연구는 문헌, 교육자, 산업계 개발자의 관점을 통합하여 컴퓨팅 교육에서 GenAI의 현주소를 포괄적으로 제시함. GenAI 통합의 실제 동향, 교육 방식의 변화, 역량 요구사항의 전환, 그리고 형평성 문제와 같은 주요 과제를 명확히 규명하고, 교육자들이 GenAI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구체적인 권장 사항을 제공함.

Quality Prediction and Abnormal Processing Parameter Identification in Polypropylene Fiber Melt Spinn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 5 min read
Amit Kumar Gope
연구원
Yu-Shu Liao
연구원
Chung-Feng Jeffrey Kuo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Quality Prediction and Abnormal Processing Parameter Identification in Polypropylene Fiber Melt Spinn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 저자: Amit Kumar Gope, Yu-Shu Liao, Chung-Feng Jeffrey Kuo (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학회/저널: Polymers
  • 발행일: 2022-07-04
  • DOI: 10.3390/polym14132739
  • 주요 연구 내용: 딥러닝 신경망을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PP) 용융 방사 공정의 다중 품질 특성을 예측하고 최적의 공정 파라미터를 탐색함. 이후, 품질 이상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랜덤 포레스트를 포함한 여러 머신러닝 및 딥러닝 방법을 비교하여 이상 원인이 되는 공정 파라미터를 식별하는 2단계 진단 시스템을 개발.
  • 주요 결과 및 결론: 랜덤 포레스트 모델이 이상 공정 파라미터 식별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임. 단일/이중 요인 식별 정확도 100%, 단일 요인 분류 정확도 98.3%, 이중 요인 분류 정확도 96.0%를 달성하여 제안된 진단 방법의 효과를 입증.
  • 기여점: PP 용융 방사 공정에서 제품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는 공정 파라미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하는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을 제안함. 이를 통해 기존의 전문가 의존적 분석 시간을 단축하고 공정 제어 안정성을 높여 생산 비용 절감에 기여.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 4 min read
Ian Goodfellow
Google Brain 연구원
Jean Pouget-Abadie
연구원
Mehdi Mirza
연구원
Bing Xu
연구원
David Warde-Farley
연구원
Sherjil Ozair
연구원
Aaron Courville
연구원
Yoshua Bengio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 저자: Ian Goodfellow (Google Brain), Jean Pouget-Abadie, Mehdi Mirza, Bing Xu, David Warde-Farley, Sherjil Ozair, Aaron Courville, and Yoshua Bengio (Université de Montréal)
  • 학회/저널: Communications of the ACM (Original paper in NIPS 2014)
  • 발행일: 2020-11-01
  • DOI: 10.1145/3422622
  • 주요 연구 내용: 생성자(Generator)와 판별자(Discriminator)라는 두 개의 신경망을 경쟁적으로 학습시키는 새로운 생성 모델 프레임워크를 제안함. 생성자는 실제 데이터와 유사한 가짜 데이터를 생성하고, 판별자는 실제 데이터와 가짜 데이터를 구별하도록 학습함. 이 적대적 과정을 통해 생성자는 실제 데이터의 분포를 학습하게 됨.
  • 주요 결과 및 결론: GAN은 특히 고해상도의 사실적인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있어 가장 성공적인 생성 모델 중 하나임을 입증함. 이 프레임워크는 다루기 힘든 확률 밀도 함수를 근사할 필요 없이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그러나 학습 과정의 불안정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로 남아있음.
  • 기여점: 기존 생성 모델의 어려움이었던 명시적 확률 밀도 추정이나 마르코프 체인 기반의 느린 샘플링 과정을 피하는, 게임 이론에 기반한 새로운 생성 모델링 접근법을 제시함. 이 적대적 학습 프레임워크는 고품질의 결과물을 생성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비지도 학습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