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Optimization of spinning processes in textile manufacturing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 약 4분
Seyed Mohammad Mehdi Sajadieh
연구원
Hye Kyung Choi
성균관대학교 연구원
Whan Lee
성균관대학교 연구원
Sang Do Noh
성균관대학교 교수

논문 정보

  • 제목: Optimization of spinning processes in textile manufacturing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 저자: SMM Sajadieh, Hye Kyung Choi, Whan Lee, Sang Do Noh (Sungkyunkwan University), Seung bum Sim (Korea Textile Development Institute)
  • 학회/저널: IISE Annual Conference & Expo 2024
  • 발행일: 2024-05-18
  • DOI: 10.21872/2024IISE_6980
  • 주요 연구 내용: 기존 회귀 모델을 기반으로 보상 계산을 수행하는 Q-러닝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섬유 방사 공정을 최적화함. 이 데이터 기반 접근법은 공정 변수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원하는 강도와 신율을 가진 섬유를 생산하는 최적의 레시피를 추천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실제 방사 공정 데이터에 제안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전 경험이 없는 고강도 섬유 생산을 위한 22개의 최적 공정 레시피를 도출함. 검증 결과, 86%의 정확도를 달성하며 제안 방법의 실용적 효용성을 입증함.
  • 기여점: 기존의 전문가 경험이나 시행착오에 의존하던 방사 공정 최적화를 데이터 기반 강화학습으로 대체함. 이를 통해 생산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지능형 제조 기술의 학술적, 산업적 이해와 적용을 촉진하는 방법론을 제시함.

Polymer design via SHAP and Bayesian machine learning optimizes pDNA and CRISPR ribonucleoprotein delivery

· 약 4분
Rishad J. Dalal
University of Minnesota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Polymer design via SHAP and Bayesian machine learning optimizes pDNA and CRISPR ribonucleoprotein delivery
  • 저자: Rishad J. Dalal (University of Minnesota), Felipe Oviedo (Nanite Inc., University of Minnesota), Michael C. Leyden (University of Minnesota), Theresa M. Reineke (University of Minnesota)
  • 학회/저널: Chemical Science
  • 발행일: 2024-04-22
  • DOI: 10.1039/d3sc06920f
  • 주요 연구 내용: 길이, 이원 조성, pKavpK_{av}, 소수성(clog P)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킨 폴리머 라이브러리를 합성함.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분석과 베이지안 최적화(BO) 머신러닝을 결합하여 plasmid DNA(pDNA) 및 CRISPR-Cas9 리보핵단백질(RNP) 전달을 위한 정량적 구조-특성 관계를 해석하고 최적의 제형을 예측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pDNA 전달에는 낮은 폴리머 pKapK_{a}와 높은 benzimidazole ethanethiol(BET) 비율이 유리한 반면, RNP 전달에는 더 긴 폴리머 길이와 captamine(Cap) 양이온이 더 효과적임을 발견함. 머신러닝으로 최적화된 상위 3개 폴리머는 생체 내(in vivo)에서 대조군보다 1.7배 향상된 유전자 발현을 보이며 20일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됨.
  • 기여점: 핵산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전달체 설계 파라미터가 다르다는 것을 설명 가능한 머신러닝(SHAP)을 통해 처음으로 규명함. 합성, 특성 분석, 머신러닝을 결합한 파이프라인을 제시하여 차세대 핵산 약물 전달체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를 제공함.

TRINITY: A Fast Compressed Multi-attribute Data Store

· 약 6분
Ziming Mao
UC Berkeley 연구원
Kiran Srinivasan
연구원
Anurag Khandelwal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TRINITY: A Fast Compressed Multi-attribute Data Store
  • 저자: Ziming Mao (UC Berkeley), Kiran Srinivasan (NetApp), Anurag Khandelwal (Yale)
  • 학회/저널: Nineteenth European Conference on Computer Systems (EuroSys '24)
  • 발행일: 2024-04-22
  • DOI: 10.1145/3627703.3650072
  • 주요 연구 내용: 본 논문은 다중 속성 레코드에 대해 빠른 쿼리와 높은 저장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인메모리 데이터 스토어 TRINITY를 제안함. 이를 위해 새로운 동적 압축 데이터 구조인 MDTRIE를 설계했으며, 이는 일반화된 모튼 코드(Generalized Morton Code)와 자기-인덱싱(self-indexed) 트라이 구조를 결합하여 압축된 데이터 표현 위에서 직접 다중 속성 쿼리를 수행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실제 워크로드 평가 결과, TRINITY는 기존 최신 시스템 대비 7.2-59.6배 빠른 다중 속성 검색 성능을 보임. 저장 공간은 OLAP 컬럼 스토어와 유사하며 NoSQL 및 OLTP 데이터베이스보다 4.8-15.1배 적게 사용함. 또한, 포인트 쿼리 처리량은 NoSQL 스토어와 비슷하고 OLTP 및 OLAP 시스템보다 1.7-52.5배 높임.
  • 기여점: 본 논문은 효율적인 다중 속성 범위 검색과 포인트 쿼리를 모두 지원하는 동적, 압축, 자기-인덱싱 다차원 데이터 구조 MDTRIE를 설계함. 또한, MDTRIE를 활용하여 대규모 다중 속성 데이터셋을 저장하고 쿼리하는 분산 데이터 스토어 TRINITY를 구현하고, 실제 워크로드를 통해 그 성능을 입증함.

Application of Reinforcement Learning to Dyeing Processes for Residual Dye Reduction

· 약 5분
Whan Lee
성균관대학교 연구원
Seyed Mohammad Mehdi Sajadieh
연구원
Hye Kyung Choi
성균관대학교 연구원
Jisoo Park
연구원
Sang Do Noh
성균관대학교 교수

논문 정보

  • 제목: Application of Reinforcement Learning to Dyeing Processes for Residual Dye Reduction
  • 저자: Whan Lee, Seyed Mohammad Mehdi Sajadieh, Hye Kyung Choi, Jisoo Park, Sang Do Noh (Sungkyunkwan University)
  • 학회/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Green Technology
  • 발행일: 2024-04-16
  • DOI: 10.1007/s40684-024-00627-7
  • 주요 연구 내용: 실제 생산 시설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잔류 염료 배출을 예측하는 Gradient Boosting(GB) 모델과, 잔류 염료를 최소화하기 위한 공정 변수를 추천하는 Q-learning 기반의 강화학습 모델(DPRM)을 개발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개발된 예측 모델은 R2R^2 값 0.96의 높은 예측 성능을 보였으며, 공정 변수 추천을 통해 평균 66.58%의 잔류 염료 감소를 달성함. 실제 현장 실험을 통해 두 가지 처방에서 각각 42.92%와 76.33%의 잔류 염료 감소 효과를 검증함.
  • 기여점: 고가의 추가 장비나 화학물질 없이, 데이터 기반의 강화학습 접근법을 통해 염색 공정의 잔류 염료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고 줄이는 혁신적인 방법을 제안하여 친환경 공정 운영에 기여함.

Exploring the Competency of ChatGPT in Solving Competitive Programming Challenges

· 약 4분
Md. Eusha Kadir
연구원
Tasnim Rahman
연구원
Sourav Barman
연구원
Md. Al-Amin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Exploring the Competency of ChatGPT in Solving Competitive Programming Challenges
  • 저자: Md. Eusha Kadir, Tasnim Rahman, Sourav Barman, Md. Al-Ami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Noakhali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Noakhali, Bangladesh)
  • 학회/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Trends i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 발행일: 2024-02-06
  • DOI: 10.30534/ijatcse/2024/031312024
  • 주요 연구 내용: 본 연구는 300개의 경쟁적 프로그래밍 문제를 'Easy', 'Medium', 'Hard' 세 가지 난이도로 나누어 ChatGPT의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함. LeetCode 플랫폼의 문제들을 활용했으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적용하여 생성된 코드의 정확성을 온라인 저지 시스템을 통해 측정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ChatGPT는 전체 문제에 대해 66.00%의 정답률(acceptance rate)을 기록하여, 평균적인 인간 사용자의 52.95%를 상회하는 성능을 보임. 난이도별 정답률은 Easy 89.00%, Medium 68.00%, Hard 41.00%로, 문제의 복잡도가 증가할수록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임.
  • 기여점: ChatGPT의 경쟁적 프로그래밍 문제 해결 능력을 인간과 비교하여 체계적으로 평가한 초기 연구 중 하나임. 효과적인 코드 생성을 위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중요성을 입증하고, 복잡한 문제 해결에서 나타나는 AI의 한계점을 명확히 제시함.

Utilizing calcined and raw fly oil shale ash in the carbonation process of OPC cement-paste and mortar

· 약 4분
Wesam Salah Alaloul
Universiti Teknologi PETRONAS 연구원
Marsail Al Salaheen
연구원
Khalid Alzubi
연구원
Muhammad Ali Musarat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Utilizing calcined and raw fly oil shale ash in the carbonation process of OPC cement-paste and mortar
  • 저자: Wesam Salah Alaloul (Universiti Teknologi PETRONAS), Marsail Al Salaheen (Al-Balqa Applied University), Khalid Alzubi (Al-Balqa Applied University), Muhammad Ali Musarata (Universiti Teknologi PETRONAS)
  • 학회/저널: Case Studies in Construction Materials
  • 발행일: 2024-02-04
  • DOI: 10.1016/j.cscm.2024.e02945
  • 주요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OPC) 페이스트와 모르타르에서 미처리 및 소성 처리된 플라이 오일 셰일 애쉬(FOSA)를 시멘트 대체재로 사용하고, 전통적인 수중 양생과 이산화탄소(CO_2) 양생의 효과를 비교 분석함. FOSA의 소성 온도와 대체율을 달리하여 기계적 특성과 미세구조 변화를 종합적으로 평가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CO_2 양생을 적용한 FOSA 혼입 샘플은 수중 양생 샘플 대비 압축 강도가 최대 200%까지 증가하는 등 기계적 성능이 크게 향상됨. 이는 CO_2 양생 과정에서 탄산칼슘(CaCO_3) 결정과 같은 수화물이 형성되어 미세구조가 치밀해지기 때문임.
  • 기여점: 산업 부산물인 FOSA를 건설 재료로 재활용하고, 온실가스인 CO2CO_{2}를 포집하여 재료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함. FOSA와 CO_2 양생의 시너지 효과를 규명하여 환경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건설 재료 개발에 기여함.

Machine learning based prediction models for spilt tensile strength of fiber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 약 6분
Wesam Salah Alaloul
Universiti Teknologi PETRONAS 연구원
IBRAHIM YOUSSEF ALYOUSSEF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Machine learning based prediction models for spilt tensile strength of fiber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 저자: Mohammed Alarfaj, Hisham Jahangir Qureshi (King Faisal University), Muhammad Zubair Shahab (COMSATS University Islamabad), Muhammad Faisal Javedd (Ghulam Ishaq Khan Institute), Md Arifuzzaman, Yaser Gamil (Monash University Malaysia)

  • 학회/저널: Case Studies in Construction Materials

  • 발행일: 2024-01-05

  • DOI: 10.1016/j.cscm.2024.e02945

  • 주요 연구 내용: 섬유보강 재생골재 콘크리트(FRAC)의 쪼갬 인장강도(STS)를 예측하기 위해 심층 신경망, 베이즈 최적화 가우시안 과정 회귀, 유전자 발현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총 5개의 모델(DNN1, DNN2, OGPR, GEP1, GEP2)을 개발. 10개의 입력 변수와 1개의 출력 변수로 구성된 257개의 데이터 포인트를 수집하여 모델 학습(80%) 및 테스트(20%)에 사용. 관련성 계수와 순열 특성 중요도를 이용한 민감도 분석 수행.

  • 주요 결과 및 결론: 3개의 은닉층을 가진 심층 신경망 모델인 DNN2가 테스트 단계에서 R2 값 0.94, MAE 0.187 MPa, RMSE 0.255 MPa를 기록하며 가장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임. 전반적인 성능은 DNN2, OGPR, DNN1, GEP2, GEP1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DNN과 OGPR 모델이 GEP 모델보다 더 강력하고 효율적인 예측 능력을 보여줌. 시멘트 함량, 천연 굵은 골재, 재생골재 밀도, 고성능 감수제는 쪼갬 인장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됨.

  • 기여점: 섬유보강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쪼갬 인장강도 예측을 위한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의 성능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예측 모델을 제시. 지속가능한 건설 재료로서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 민감도 분석을 통해 콘크리트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정량적으로 규명하여 향후 콘크리트 설계 및 제조에 실용적인 가이드라인 제공.

Scaling deep learning for materials discovery

· 약 6분
Amil Merchant
Google DeepMind 연구원
Simon Batzner
연구원
Samuel S. Schoenholz
연구원
Muratahan Aykol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Scaling deep learning for materials discovery
  • 저자: Amil Merchant (Google DeepMind), Simon Batzner (Google DeepMind), Samuel S. Schoenholz (Google DeepMind), Muratahan Aykol (Google Research), Gowoon Cheon (Google Research), Ekin Dogus Cubuk (Google DeepMind)
  • 학회/저널: Nature
  • 발행일: 2023-11-29
  • DOI: 10.1038/s41586-023-06735-9
  • 주요 연구 내용: 본 연구는 그래프 신경망(GNN)을 대규모로 확장하고 액티브 러닝을 적용하여 무기 결정의 안정성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GNOME(Graph Networks for Materials Exploration)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이 프레임워크는 대칭성을 고려한 부분 치환(SAPS)과 같은 새로운 후보군 생성 방법과 밀도 범함수 이론(DFT) 계산을 결합한 반복적인 학습 사이클을 통해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방대한 화학 공간을 효율적으로 탐색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GNOME을 통해 기존 연구 대비 220만 개의 새로운 안정적인 결정 구조를 발견했으며, 이 중 381,000개는 새로운 볼록 껍질(convex hull)을 형성하여 인류에게 알려진 안정적인 재료의 수를 10배 가까이 확장함. 최종 모델은 에너지 예측 오차를 원자당 11 meV까지 낮췄으며, 안정적인 구조 예측의 정확도(hit rate)를 80% 이상으로 향상시킴. 또한, 이 과정에서 생성된 방대한 데이터셋은 전이 학습 없이도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범용 머신러닝 원자간 전위(MLIP) 모델 개발을 가능하게 함.
  • 기여점: 알려진 안정적인 무기 재료의 수를 10배 가까이 확장하여 재료 과학 분야에 방대한 데이터를 제공함. 딥러닝 모델의 규모를 확장함으로써 학습 데이터 분포를 벗어나는 문제(out-of-distribution)에 대한 일반화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는 과학적 발견에서 머신러닝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할 가능성을 제시함. 또한, 생성된 데이터셋을 통해 특정 재료에 대한 추가 학습 없이도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에 바로 사용될 수 있는 고성능 사전 학습 원자간 전위 모델을 개발함.

Explainable AI for Material Property Prediction Based on Energy Cloud: A Shapley-Driven Approach

· 약 5분
Faiza Qayyum
연구원
Murad Ali Khan
연구원
Do-Hyeun Kim
연구원
Hyunseok Ko
연구원
Ga-Ae Ryu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Explainable AI for Material Property Prediction Based on Energy Cloud: A Shapley-Driven Approach
  • 저자: Faiza Qayyum (Jeju National University), Murad Ali Khan (Jeju National University), Do-Hyeun Kim (Jeju National University), Hyunseok Ko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Ga-Ae Ryu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 학회/저널: Materials
  • 발행일: 2023-11-24
  • DOI: 10.3390/ma16237322
  • 주요 연구 내용: TabNet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PZT(납 지르콘산 티탄산염) 세라믹의 조성 및 공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전율 특성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함. 모델의 예측 결과를 해석하고 입력 변수와 예측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설명가능 AI(XAI) 기법인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분석을 수행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제안된 TabNet 모델은 기존 머신러닝 모델(XGBoost, Bi-Layered ANN)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평균 제곱 오차(MSE) 0.047, 평균 절대 오차(MAE) 0.042를 달성함. SHAP 분석을 통해 압전상수(d33), 유전 손실(tangent loss), 화학식이 유전율 예측에 중요한 기여를 하는 반면, 공정 시간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음을 확인함.
  • 기여점: PZT 세라믹 특성 예측을 위해 특화된 새로운 TabNet 기반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개발함. SHAP 분석을 통해 모델의 예측에 대한 해석 가능성을 높이고, 다양한 입력 파라미터가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압전 재료 특성 예측 분야의 신뢰성을 향상시킴.

Experimental-based statistical models for the tensile characterization of synthetic fiber ropes: a machine learning approach

· 약 6분
Yahia Halabi
연구원
Hu Xu
연구원
Zhixiang Yu
연구원
Wael Alhaddad
연구원
Isabelle Dreier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Experimental-based statistical models for the tensile characterization of synthetic fiber ropes: a machine learning approach
  • 저자: Yahia Halabi (Southwest Jiaotong University), Hu Xu (Southwest Jiaotong University), Zhixiang Yu (Southwest Jiaotong University), Wael Alhaddad (Tongji University), Isabelle Dreier (University of Giessen)
  • 학회/저널: Scientific Reports
  • 발행일: 2023-10-18
  • DOI: 10.1038/s41598-023-44816-x
  • 주요 연구 내용: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로프에 대해 DSC 열분석, 섬유/얀 인장 실험, 196개의 로프 인장 실험을 수행하여 포괄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로프의 3선형(tri-linear) 응력-변형률 프로파일을 예측하는 인공신경망(ANN) 모델을 개발하고 최적화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개발된 ANN 모델은 파단 강도 및 변형률에 대해 약 5%의 오차로 로프의 3선형 응력-변형률 특성을 정확하게 예측함. 이 연구는 로프의 공정-구조-물성 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인장 특성 설계 및 예측에 드는 비용과 노력을 줄이는 데 기여함.
  • 기여점: 합성 섬유 로프의 인장 특성에 대한 광범위한 실험적 통계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축함. 기계 학습(ANN)을 적용하여 복잡한 비선형적 인장 거동을 실용적인 3선형 모델로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했으며, 이는 산업 현장에서의 로프 설계 및 성능 예측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