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Textile industry" 태그로 연결된 5개 게시물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섬유 산업

모든 태그 보기

Optimization of Fiber Radiation Processes Using Multi-Objective Reinforcement Learning

· 약 5분
Hye Kyung Choi
성균관대학교 연구원
Whan Lee
성균관대학교 연구원
Seyed Mohammad Mehdi Sajadieh
연구원
Seung Bum Sim
연구원
Sang Do Noh
성균관대학교 교수

논문 정보

  • 제목: Optimization of Fiber Radiation Processes Using Multi-Objective Reinforcement Learning
  • 저자: Hye Kyung Choi (Sungkyunkwan University), Whan Lee (Sungkyunkwan University), Seyed Mohammad Mehdi Sajadieh (Sungkyunkwan University), Seung Bum Sim (Korea Textile Development Institute), Wu chang Jung (Korea Textile Development Institute), Jeong Ho Jeong (Korea Textile Development Institute), Sang Do Noh (Sungkyunkwan University)
  • 학회/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Green Technology
  • 발행일: 2024-07-26
  • DOI: 10.1007/s40684-024-00644-6
  • 주요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전통적인 섬유 방사 공정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다중 목표 강화 학습(MORL) 프레임워크를 제안함. 공정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 변수를 추출하고, LSTM 기반의 예측 모델로 섬유의 강도와 신도를 예측한 후, Q-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품질과 생산성을 동시에 최적화하는 공정 파라미터 레시피를 추천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제안된 LSTM 예측 모델은 섬유 강도 예측에서 85.24%, 신도 예측에서 87.02%의 높은 정확도(r2r^2-score)를 달성함. 다중 목표 최적화를 통해 기존 공정 대비 평균 7.25%의 생산성 향상을 이루었으며, 작업자의 노하우나 시행착오에 대한 의존도를 크게 낮춤.
  • 기여점: 전통적인 제조업에 데이터 기반 AI 기술을 적용하여 디지털 전환을 이룰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론을 제시함. 특히 품질과 생산성이라는 상충 관계에 있는 두 목표 사이의 최적 균형점을 찾는 강화 학습 모델을 통해, 복잡한 공정 의사결정을 자동화하고 효율화하는 방안을 구체화함.

Automated machine learning for fabric quality prediction: a comparative analysis

· 약 5분
Ahmet Metin
연구원
Turgay Tugay Bilgin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Automated machine learning for fabric quality prediction: a comparative analysis
  • 저자: Ahmet Metin (Bursa Technical University), Turgay Tugay Bilgin (Bursa Technical University)
  • 학회/저널: PeerJ Computer Science
  • 발행일: 2024-07-23
  • DOI: 10.7717/peerj-cs.2188
  • 주요 연구 내용: 7개의 오픈소스 AutoML(FLAML, AutoViML, EvalML, AutoGluon, H2OAutoML, PyCaret, TPOT) 기술을 비교하여 직물 품질 데이터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계산 효율성과 예측 정확성 간의 최적 균형점을 찾는 방법론을 제시. IoT 센서와 ERP 시스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품질 예측 모델을 자동화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EvalML이 평균 절대 오차(MAE)에서 2.8282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AutoGluon은 평균 절대 백분율 오차(MAPE), 평균 제곱근 오차(RMSE), 결정 계수(R2R^2)에서 각각 1.0444, 21.129, 0.964로 가장 나은 성능을 기록함. 그러나 AutoGluon은 추론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어, 정확성과 계산 효율성 간의 상충 관계를 확인함.
  • 기여점: 섬유 산업에서 AutoML 적용에 대한 실용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고 Industry 4.0 기술을 활용한 직물 품질 예측 향상 로드맵을 제시. 예측 정확성과 계산 효율성 간의 균형점 탐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모델 해석을 위한 특징 중요도(feature importance) 분석의 유용성을 입증함.

섬유의 변퇴색 기준 판정 내광성 등급 기반 이상치 처리 기법

· 약 4분
이대규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석사과정생
서강복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
김덕엽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과정생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전임교수

논문 정보

  • 제목: 섬유의 변퇴색 기준 판정 내광성 등급 기반 이상치 처리 기법 (Outlier Processing Techniques Based on Colorfastness Rating Determination Based on Change in Color of Textile)
  • 저자: 이대규, 서강복, 김덕엽, 이우진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
  • 학회/저널: 2023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 발행일: 2023-06-21
  • DOI: 제공되지 않음
  • 주요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섬유 염색 공정 데이터에서 내광성 등급 예측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상치 처리 기법을 제안함. 제안된 기법은 기기으로 측정한 변퇴색(ΔEF\Delta E_F) 기반의 내광성 등급과 현장에서 수집된 내광성 등급을 비교해 두 등급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이상치로 간주하고 제거하는 방식임.
  • 주요 결과 및 결론: 수집된 내광성 등급과 변퇴색 기준 등급 간의 차이가 1.5를 초과하는 데이터를 이상치로 제거했을 때, 예측 모델의 정확도가 0.9495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이는 원본 데이터(0.86301)나 일반적인 이상치 처리 기법(Z-score: 0.91359, IQR: 0.87477)을 적용했을 때보다 우수한 성능임.
  • 기여점: 노동집약적인 섬유 산업 분야의 데이터가 갖는 비정규 분포 특성을 고려한 도메인 특화 이상치 처리 기법을 제안함. 이를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고 머신러닝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켜, 제품 생산 효율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론을 제시함.

데이터 불균형과 측정 오차를 고려한 생분해성 섬유 인장 강신도 예측 모델 개발

· 약 5분
Se-Chan Park
연구원
김덕엽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과정생
서강복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전임교수

논문 정보

  • 제목: The Development of Biodegradable Fiber Tensile Tenacity and Elongation Prediction Model Considering Data Imbalance and Measurement Error
  • 저자: 박세찬, 김덕엽, 서강복,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 학회/저널: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 발행일: 2022-12-01
  • DOI: 10.3745/KTSDE.2022.11.12.489
  • 주요 연구 내용: 섬유 방사 공정 데이터의 특성(적은 양, 불균형, 샘플 간 오차)을 고려하여, 동일 방사 조건 클러스터 내 평균과의 거리를 기준으로 이상치를 처리하는 기법을 제안함. 또한, 여러 공정 변수와 예측 물성 간 상관계수 및 데이터 불균형 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복합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제안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제안한 이상치 처리 및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적용했을 때, 기존 기법들(박스 플롯, CBLOF, ROS, SMOTE)보다 데이터 손실이 적고 불균형을 효과적으로 완화함. MLP 모델 기준, 인장 강도 예측에서 평균절대오차(MAE)는 약 27% 감소하고 조정된 결정계수(R2R^2)는 0.5 미만에서 약 0.8 수준으로 크게 개선됨.
  • 기여점: 데이터 수집이 어려운 섬유 산업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부족, 불균형, 측정 오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데이터 전처리 기법을 제안함. 이를 통해 AI 예측 모델의 성능과 신뢰도를 향상시켜 공정 비용 절감 및 품질 최적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실용적 방안을 제시.

생분해성 섬유 방사 공정 데이터 특성을 고려한 물성 예측 모델 개발

· 약 4분
박세찬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
김덕엽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과정생
서강복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전임교수

논문 정보

  • 제목: 생분해성 섬유 방사 공정 데이터 특성을 고려한 물성 예측 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Property Prediction Model in Consideration of Biodegradable Fiber Spinning Process Data Characteristics)
  • 저자: 박세찬, 김덕엽, 서강복,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 학회/저널: ASK 2022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발행일: 2022-01-01
  • DOI: 제공되지 않음
  • 주요 연구 내용: 섬유 방사 공정 데이터는 양이 적고 분포가 불균형하며, 동일 조건 샘플 간에도 오차가 존재하는 특성이 있음. 본 논문은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물성 단위와 허용오차를 고려한 이상치 처리 기법과 데이터 불균형 정도 및 물성과의 상관성을 고려한 오버샘플링 기법을 제안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제안된 데이터 전처리 기법들을 MLP 모델에 적용한 결과, 조정된 결정계수는 0.479에서 0.789로 크게 향상되었고, 평균절대오차는 0.165에서 0.120으로 약 27% 감소함. 이를 통해 모델의 데이터 적합도와 예측 정확성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함.
  • 기여점: 데이터 확보가 어려운 섬유 방사 공정의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메인 지식(공정관리한계 허용오차)을 활용한 데이터 처리 기법을 제안함. 데이터 불균형과 상관성을 동시에 고려한 오버샘플링을 통해 물성 예측 모델의 성능을 실질적으로 개선하여 AI 기술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