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Polylactic acid" 태그로 연결된 2개 게시물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폴리락틱산 - 옥수수 등에서 추출한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모든 태그 보기

A machine learning-integrated framework for mechanical property prediction of FDM-printed PLA

· 약 5분
Yassmin Seid Ahmed
Hany Hassanin
Aamer Nazir
Sikandar Khan

논문 정보

  • 제목: A machine learning-integrated framework for mechanical property prediction of FDM-printed PLA
  • 저자: Yassmin Seid Ahmed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 Minerals), Hany Hassanin (University of Birmingham), Aamer Nazir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 Minerals), Sikandar Khan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 Minerals)
  • 학회/저널: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 발행일: 2025-08-08
  • DOI: 10.1007/s00170-025-16232-0
  • 주요 연구 내용: FDM(Fused Deposition Modeling)으로 제작된 PLA 부품의 극한 인장 강도(UTS)를 예측하기 위해 기계 학습(ML), 실험적 검증, 유한 요소 해석(FEA)을 통합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14개의 기존 연구에서 422개 샘플 데이터를 수집하여 10개의 ML 알고리즘을 평가하고, 예측 성능 향상을 위해 앙상블 모델을 개발했다.
  • 주요 결과 및 결론: 개별 ML 모델 중에서는 TabNet이 가장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였으며, 여러 모델을 결합한 앙상블 전략은 결정 계수(R2R^2) 99.09%라는 월등한 성능을 달성했다. 309개의 외부 독립 샘플을 통한 검증에서 10% 미만의 예측 오차를 보여 모델의 일반화 능력을 확인했으며, 래스터 각도와 내부 채움 밀도가 인장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공정 변수임을 밝혔다.
  • 기여점: 대규모 데이터셋(422개 샘플)과 10개의 다양한 ML 알고리즘, 앙상블 모델링을 적용하고, 외부 데이터셋, 실제 인장 실험, 물리 기반 FEA 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다단계 검증 체계를 통해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했다. 이를 통해 적층 제조 부품의 기계적 물성을 예측하는 검증되고 확장 가능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데이터 불균형과 측정 오차를 고려한 생분해성 섬유 인장 강신도 예측 모델 개발

· 약 5분
Se-Chan Park
김덕엽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과정생
서강복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박사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전임교수

논문 정보

  • 제목: The Development of Biodegradable Fiber Tensile Tenacity and Elongation Prediction Model Considering Data Imbalance and Measurement Error
  • 저자: 박세찬, 김덕엽, 서강복, 이우진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 학회/저널: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 발행일: 2022-12-01
  • DOI: 10.3745/KTSDE.2022.11.12.489
  • 주요 연구 내용: 섬유 방사 공정 데이터의 특성(적은 양, 불균형, 샘플 간 오차)을 고려하여, 동일 방사 조건 클러스터 내 평균과의 거리를 기준으로 이상치를 처리하는 기법을 제안함. 또한, 여러 공정 변수와 예측 물성 간 상관계수 및 데이터 불균형 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복합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제안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제안한 이상치 처리 및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적용했을 때, 기존 기법들(박스 플롯, CBLOF, ROS, SMOTE)보다 데이터 손실이 적고 불균형을 효과적으로 완화함. MLP 모델 기준, 인장 강도 예측에서 평균절대오차(MAE)는 약 27% 감소하고 조정된 결정계수(R2R^2)는 0.5 미만에서 약 0.8 수준으로 크게 개선됨.
  • 기여점: 데이터 수집이 어려운 섬유 산업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부족, 불균형, 측정 오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데이터 전처리 기법을 제안함. 이를 통해 AI 예측 모델의 성능과 신뢰도를 향상시켜 공정 비용 절감 및 품질 최적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실용적 방안을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