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Teaching practices" 태그로 연결된 1개 게시물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교육 실천

모든 태그 보기

Beyond the Hype: A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Trends in Generative Al Research, Teaching Practices, and Tools

· 약 6분
James Prather
Abilene Christian University 교수
Juho Leinonen
연구원
Natalie Kiesler
연구원
Jamie Gorson Benario
연구원

논문 정보

  • 제목: Beyond the Hype: A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Trends in Generative Al Research, Teaching Practices, and Tools
  • 저자: James Prather (Abilene Christian University), Juho Leinonen (Aalto University), Natalie Kiesler (Nuremberg Tech), 외 다수
  • 학회/저널: 2024 Working Group Reports on Innovation and Technology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ITICSE-WGR 2024)
  • 발행일: 2024-07-08
  • DOI: 10.1145/3689187.3709614
  • 주요 연구 내용: 컴퓨팅 교육 분야에서 생성형 AI(GenAI)의 현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세 가지 접근법을 사용함. 첫째, 71편의 관련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SLR)을 수행함. 둘째, 교육자(N=76)와 산업계 개발자(N=39)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마지막으로 GenAI 도구 개발자, 연구자, 사용자 등 17명의 교육자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데이터를 삼각 측량 방식으로 분석함.
  • 주요 결과 및 결론: 문헌 고찰 결과, 교육적 가드레일이 포함된 맞춤형 GenAI 도구를 사용할 때 긍정적인 결과가 더 많이 나타남. 설문 및 인터뷰 결과, 대다수 교육자(77%)는 GenAI로 인해 필요한 프로그래밍 역량이 변화했다고 인식하지만, 실제 교육과정을 수정한 비율은 36%에 그침. 역량의 중심이 코드 작성에서 코드 읽기, 테스트, 문제 분해 등 고차원적 기술로 이동하고 있으며, 평가 방식도 감독 있는 시험이나 구술시험으로 바뀌는 추세임.
  • 기여점: 본 연구는 문헌, 교육자, 산업계 개발자의 관점을 통합하여 컴퓨팅 교육에서 GenAI의 현주소를 포괄적으로 제시함. GenAI 통합의 실제 동향, 교육 방식의 변화, 역량 요구사항의 전환, 그리고 형평성 문제와 같은 주요 과제를 명확히 규명하고, 교육자들이 GenAI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구체적인 권장 사항을 제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