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ETEC 프로젝트 회의록 (2025.09.10)
📋 회의 개요
- 일시: 2025년 9월 10일
- 주제: 4차년도 AI 모델 개발 및 고도화 방안 논의
- 연차보고서: 11월 마무리 예정
- 목적: 산업적, 학술적 필요성 확인을 위한 선행 연구 사례 검토
🎯 Project 1: 고내광성 친환경 내장재 AI 모델 개발
📌 프로젝트 목표
- 색상 예측, 레시피 최적화 및 추천
- 재작업 감소, 공정 자동화 제어 및 공정 최적화
- 기업 요구사항: 색상 정확도, 내광성 확보, 비용 절감
🔧 기존 모델 고도화 컨셉
- 데이터 정제: 이상치 제거, 성능 열화 데이터 제거
- 유의미 파생변수 추가
- SOTA 기법 및 모델 Stacking 검토
- 성능 개선: 데이터 정제를 통한 성능 향상 진행 중
🆕 신규 모델 개발
- 내광성 예측 모델: 광 노출 시간별 내광성 예측 모델 고도화
- 역설계 모델: 측색값 및 내광성 등급 역설계
- 기업 맞춤형: AX 지원을 위한 맞춤 모델 개발 및 커스터마이징
- 순방향 및 역설계 모델 구축
💡 기술적 특징
- 데이터 복원: 10개 컬럼 중 일부 누락 시 복원 방법론 적용
- 자동화 Flow: GUI를 활용한 데이터 입력 → 분석 → 전처리 → 모델 다운로드
- 내광성 등급: 일광 조건이 주어지는 환경에서의 등급 평가
🎯 Project 2: 물성 모델 고도화
📌 프로젝트 목표
- 주요 타겟: 강도, 신도 중심의 물성 모델
- 방사 시뮬레이션 및 역설계 모델 고도화
- 기업 수요 및 AX 지원을 고려한 모델 다변화
🔬 연구 기관별 역할
- 성균관대학교: 최적화 기법 적용
- 경북대학교: 전수탐색 방식 적용
- 협력: 동시 물성 조건 확인을 위한 상호 보완적 접근
📊 데이터 분석 결과
FDY 원료별 특성 (Mi=7, 21, 23)
- Mi=7: 결정성 우수, 일부 조건에 민감
- Mi=21: 전반적으로 안정적, 공정 조건에 둔감
- Mi=23: 가장 높은 열적 특성, 공정 조건 제어를 통한 개선 여지 큼
데이터 소스별 차이점
- 다이텍 데이터: 샘플과 아웃풋 동일
- 섬유원 데이터: 샘플과 아웃풋 모두 상이
🛠️ 기술적 개선사항
이상치 처리 알고리즘 (KoMap 제공)
- 1단계: 이상치 후보 데이터 분류
- 2단계: 유사 데이터셋 그룹별 비교 후 최종 이상치 확정
- 목적: 오판단 방지 및 데이터셋 크기 최대화
신규 모델 개발
-
Degradation 인지형 모델
- PLA의 수분/온도/전단 민감성 고려
- 분자량 저하 최소화 방안 모색
-
물리지식 결합 하이브리드 모델
- 연신-결정화 중간변수 활용
- 물리적 일관성 유지 및 설명 가능성 확보
-
수율, 생산 안정성 예측 모델
- 실 끊어짐 패턴 파악
- 시계열 데이터 기반 신호 분석
-
컴퓨터 비전 기반 결함 검출
- ResNet, VGG-16 활용
- 비용 효율적 센서 없는 검출 방식
🔄 자동화 시스템
- 전체 프로세스: 데이터 로드 → 전처리 → 모델 학습 → 검증 → 테스트
- GUI 기반: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구축
🏫 성균관대학교 연구 현황
👨🔬 연구진
- Mahdi Sajadieh: Project 1, 2 관련 논문 다수 작성 (참고 필요)
🎯 현재 성과
- 잔류 염료 Hit Rate: 84% → 90% 목표
- 강화학습 적용: Q-Learning, DQN, PPO, Bayesian Optimization
- 성능 향상: 강도 97%, 신도 94% 달성
🔧 기술적 접근
- 다양한 알고리즘: 커널 기반, CNN, Bayesian LSTM
- Multi-Objective 최적화: 기존 단일 목표에서 다목적 최적화로 전환
- Digital Twin 동기화: 기존 개발 모델과 연동
🏢 기업 지원 현황
📈 지원 현실
- 염색 기업: 영세기업 중심, 지원 조건 열악
- 방사 기업: 대기업 중심 (국내 5개), 데이터 공유 거부
- 컨택 결과: 방사 기업 거절, 염색 기업 지원 어려움
💡 개선 방안
- 데이터 경진대회: 아이디어 경진대회 개최 검토
- Feature Engineering: 분자 구조 연계 구조 활용
- 현업자 참여: 섬유 관련 전문가와의 장기적 협력
🔄 데이터 및 모델 업데이트
📊 데이터 변경사항
- Project 1: RBY → +Gray 추가
- Project 2: +첨가제 데이터 추가
- 원료 조건: 올해부터 대폭 변경, 영향 예상
🎯 모델 최적화
- Mi=21 배제: 원료 품질 불량으로 인한 물성 편차 과다
- Mi=7, 23 집중: 안정적인 학습을 위한 데이터 선별
🌐 플랫폼 및 인증
🔗 웹사이트
- AI 플랫폼: http://ai.dyetec.or.kr
🏆 인증 관련
- TTA → KCA: 공인신뢰성 기관 확인 필요
🎪 전시 계획
- 일산 KTX 전시: 10월 말, 아이디어 발굴 필요
- Digital Twin: 전시 아이디어로 활용 검토
📝 후속 조치
✅ 즉시 실행
- 데이터 정리: 수신 데이터 정리 후 전달
- Study: 회의 내용 정리하여 저장
- 논문 검토: Mahdi Sajadieh 논문 리뷰
🔄 지속적 검토
- Vertical AI: 소재 AI 통합 플랫폼으로서의 유의성 검토
- 기업 컨택: 타이밍 및 방법론 재검토
- 모델 성능: 지속적인 성능 모니터링 및 개선
💭 주요 논의사항
❓ 미해결 질문
- Project 1 신규 vs 고도화: 명확한 구분 기준 필요
- 기업 컨택 시점: 프로젝트 진행 단계별 컨택 타이밍
- 데이터 경진대회: 기존 모델 개선 vs 신규 모델 개발
💡 제안사항
- 교차 검증: 경북대-성균관대 간 모델 교차 검증
- Feature Engineering: 분자 구조 기반 특성 추출
- 멀티모달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추가 활용 검토